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치매치료 어디까지 (상)실태] 환자 2만 8700여명…전문병동 '0곳'

7월 요양급여 지급 확대땐 혜택 2000여명 늘듯 / 지역치매센터 예산 부족 올해 전주만 설치 예정

정부가 다음 달부터 치매 환자 중 중증이 아닌 환자들도 싼값에 요양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제도를 시행한다.

 

신청 후 치매 특별등급을 받게 되면, 일주일에 3회 이상 2시간 이상의 재가서비스 또는 주간보호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안에는 치매 환자의 증상을 지연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꼭 포함돼야 하며, 치매 전문교육을 이수한 요양보호사 또는 관리자만이 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게 돼 있다.

 

가벼운 치매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를 둔 가족들에겐 어느 때보다 반가운 소식이지만, 여전히 치매 노인을 돌봐줄 사실상 전문 병동이 한 곳도 없는 등 빈약한 상황이다. 더불어 부족한 전문의사, 요양보호사 양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이에 두 차례에 걸쳐 전북지역 치매 환자의 실태와 대안을 찾아본다.

 

전라북도광역치매센터에 따르면 전라북도 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31만 2764명 수준이다. 이중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치매 유병률(9.18%)에 근거하면 약 2만 8712명의 치매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또 7월부터 신설되는 치매 특별등급이 도입될 경우 약 2290명의 치매 환자가 추가로 등급 안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도내에는 치매환자를 위한 시설로 광역치매센터(1개소), 시·군 치매상담실(13개소), 치매검진협약병원(34개소), 노인보건의료센터(1개소), 치매거점병원 (1개소, 전주시노인복지병원), 노인요양병원(76개소, 공립 6, 도립 2, 시군립 4, 민간 64), 노인복지시설(1136개소)이 설치돼 있다.

 

이 가운데 경증 치매환자는 노인복지시설에 속하는 방문요양기관, 주간보호기관에서 주로 서비스를 받게 되는데, 방문요양기관의 경우 414개소, 주간보호서비스기관은 68개소가 있다.

 

문제는 치매환자를 위한 맞춤형 전문시설이 열악하다는 데 있다. 애초 올해 전주, 군산, 익산 등 3곳에 지역치매센터가 설치될 계획이었지만 도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전주시에만 개소될 예정이다.

 

지역치매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시·군보건소 안에 설치된 치매상담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지만, 치매사업을 담당할 공무원이 평균 0.3명에 불과, 원활한 지원업무를 수행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중등도와 중증 환자의 경우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가족들을 의심하거나 물건을 감추는 등의 부적절한 행동(정신행동증상)을 보이는 중증환자에게는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전문 프로그램 등이 절실하다.

 

현재 도내에는 이들을 위한 노인요양시설이나 노인전문병원이 295개 설치돼 있다. 시설 수는 타 지역에 비해 양호한 편이지만, 치매환자를 위한 전문적인 맞춤형 시설로는 부족하다. 이들 시설 내에는 치매환자뿐만 아니라 일반 노인 환자도 함께 수용돼 환자간에 빈번하게 마찰이 발생하는 등 치매환자 치료에 커다란 도움이 되질 못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요양보호사들 또한 치매환자를 돌보는 전문적인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꾸준한 교육이 진행돼야 하는 것 역시 과제다. 이에 지난 3월부터 이달 말까지 건강보험공단과 광역치매센터가 교육을 시행하고 있지만, 초기 실시한 치매 전문 교육이 워낙 짧은 시간에 이뤄져 이들을 위한 재교육 시스템과 예산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윤나네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도농 상생 한마당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싹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