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무장관 무차관' 인사 대탕평 잊었나

20년만에 수모…도민들 충격·허탈 / 박 대통령 취임후 등용 장·차관 4명뿐

문민정부 출범(1993년) 이후 단 한번도 없었던 ‘전북 무장관 무차관’사태가 발생, 도민들을 충격에 빠뜨리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호남의 눈물을 닦아 주겠다”며 인사대탕평을 약속했고, 특히 전북에 대한 배려를 강조했기에 기대를 가졌던 도민들은 허탈감에 빠진 분위기다.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고 새누리당 황우여(67·인천) 의원을 새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내정했다.

 

박 대통령은 또 신설된 청와대 인사수석비서관에 중앙인사위 인사정책국장을 지낸 정진철(59·충남) 대전복지재단 대표를,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이경옥 안전행정부 제2차관 후임에는 이성호(60·충북) 전 국방대학교 총장을 각각 내정했다.

 

청와대는 국회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정종섭 안전행정부,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이날 청문보고서 송부를 국회에 재요청, 사실상 임명 강행을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이날 인사로 인해 전북은 20여년만에 무장관 무차관의 수모를 겪게됐다.

 

김영삼 정권 때인 1994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이명박 정권 때인 2010년 7월부터 그해 12월까지 전북은 무장관인 때가 있었지만, 당시 무차관은 아니었다.

 

전북 무장관 무차관 상황은 1970년대까지는 종종 있었으나 그후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1990년대 초반 잠깐 발생한 일이 있었다. 결국 이번 전북 무장관 무차관 사태는 20여년만에 발생한 셈이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지난달 말까지 등용된 장·차관급 116명을 분석한 결과, 전북 출신은 진영 전 보건복지부장관과 김관진 안보실장, 박종길 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이경옥 안전행정부 제2차관 등 4명(3.4%)에 불과하다.

 

이중 김관진 전 국방부장관만 청와대 안보실장(장관급)으로 자리를 옮겼을 뿐, 진영 전 장관과 박종길·이경옥 전 차관은 잇따라 불명예 퇴진하면서 전북 인맥이 끊겼다.

 

겨우 명맥을 이어가던 전북 출신 장·차관의 자리를 다른 지역 출신이 차지하면서 도민들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여년만의 무장관 무차관 사태가 발생해도 항변조차 못하는 도내 정치권의 무기력한 모습은 실망감을 더한다.

 

도민들은 “대권까지 바라봤던 정세균, 정동영 상임고문이 전북의 대변자 노릇을 제대로 못하고 있고,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은 무기력하기 짝이 없다”고 지적했다.

위병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단체장 도전”…전북도청 간부공직자들도 ‘선거 러시’

자치·의회전용태 전북도의원, 공공의료 안정운영 위한 진안의료원 재정지원 법제화 촉구

사건·사고금은방서 금팔찌 훔쳐 달아난 20대 2명 검거

정치일반플랜B도 멈춘 450억 '새만금 청소년센터'...‘치유·힐링캠프’로 활용 필요

정치일반“결혼, 자연 속에서 공공과 함께”…전북도, 새로운 결혼문화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