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풍 시인 〈내 가슴의 꽃으로〉
‘코스모스 길에는 / 길손의 향수가 머문다. / 여인의 애련한 눈빛/ 기다리는 여심이 있다.’(‘코스모스 길 1’ 전문)
‘가쁜 숨 몰아쉬며/ 고개를 넘네./ 뒤따르는 낙엽들/ 눈물을 짓네. /모두가 떠난/ 외로운 자리/ 끝까지 지켜가는/ 몇 개의 잎새.’(‘가을 고개’ 전문)
‘낙엽이 길 떠나며/ 불러준 가을 노래/ 들려올 때면/ 마음 숙연해지네.// 청춘을 노래하며/언제까지나/ 푸르른 잎새로/ 살아갈 것 같네. // 그대가 부르는 노래/ 따라 흐르는 눈물.’(‘낙엽의 노래’전문)
이근풍 시인이 4구체, 8구체, 10구체 향가 형식을 빌러 쓴 3편의 시다. 14번째 시집으로 낸 <내 가슴의 꽃으로> 는 이렇게 향가 형식의 시들로만 엮어졌다. 내>
“가슴 따뜻하게 하는 봄비 같은 시, 가슴 후련하게 여는 여름 소나기 같은 시,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가을비 같은 시, 그리움을 풀어내는 겨울의 첫눈 같은 시를 향가 형식에 담아 보았습니다.” 이 시인은 “신라시대의 노래인 향가가 작품 수도 많고, 다양한 형식의 대표적 고대 시가다”며, 10구체 형식을 중심으로 가끔 4구체와 8구체도 실험했다고 소개했다.
경찰공무원을 정년 퇴임한 시인은 전북경찰문학회·임실문학회·문학사랑문인협회 회원 등으로 활동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