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뒷돈 받고 임금 상승률 전국 평균 넘어 / 겨울철엔 일찍 퇴근도…감사원 적발 개선 조치
전북대병원과 군산의료원·남원의료원 등 전북지역 공공의료기관의 부실한 운영실태가 드러났다.
감사원은 지난해 10∼12월 전국 138개 공공의료기관을 상대로 공공의료체계 구축·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전북지역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에서 운영·관리상 문제 등을 적발해 관계기관에 개선방안 마련과 처분조치를 내렸다고 1일 밝혔다.
감사결과에 따르면 군산의료원은 지난 2012년 기준, 타 병원에 비해 의료수익이 약간(1.25배) 높은 반면, 의업 비용은 이보다 훨씬 높아(1.56배) 31억원의 의료손실을 냈다.
그럼에도 불구,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평균 임금 상승률이 10.3%로, 전국 지방의료원 평균 임금 상승률 8.23%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 2010년에는 총 5800여만원을 들여 지방흡입기 2대와 피부이식기 등을 구입했으나, 실제 이용건수가 한 건도 없어 막대한 예산만 낭비하게 됐다.
여기에 진료실적이 많은 의사가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연봉을 받은 사례도 드러났다.
남원의료원의 경우에는 지난 2012년 당시순손익이 -26억원임에도 불구, 연월차 보전수당과 보건수당 등의 수당이 타 지방의료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어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시간외 수당 과다 지급액도 총 3억4482만원으로서, 이번 감사대상 지방의료원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절기(11월∼다음해 2월) 퇴근시간을 오후 5시로 운영함으로써,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북대학교병원에서는 의사 A씨가 지난 2012년 제약사 홍보 자문 요청 등을 받고 소속 대학에 신고도 하지 않은 채 제약사로부터 총 200만원을 수령했다.
A씨는 당시 4개 제약사로부터 4회에 걸쳐 의약품과 관련된 자문에 응하고 각각 50만원씩의 리베이트를 자문료 형식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번 감사에서 공공의료기관이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나 의료 안전망 등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방의료원 경영 악화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해당 의료기관의 개선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