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희 의원 "이통사 소비자 피해보상 뒷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3개 이동통신사에서 최근 10년 사이 18회 통신장애가 발생해 654만명 이상이 피해를 봤지만 이통사의 피해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정치연합 유승희 의원은 7일 "2004년부터 최근까지 통신 대란을 일으킨 통신장애 횟수는 18회에 이르고 지속시간도 37시간 30분에 달했다"며 "이로 인해 발생한 피해에 대해 SK텔레콤만 적은 금액으로 보상했을 뿐 KT와 LG유플러스는 전혀 보상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2004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통신대란을 발생시킨 통신 장애건수는 KT 8회, SK텔레콤 5회, LG유플러스 5회로 총 18회였다.
이들 통신장애는 소프트웨어 오류나 하드웨어 불량, 과부하 등 통신사 부주의로 인한 인재사고로, 이로 인해 국민이 겪은 장애 시간은 3개사 모두 10시간 이상씩 총37시간 32분에 달했다.
피해자를 제대로 파악조차 못한 LG유플러스를 제외하고도 통신장애로 피해를 본국민은 KT가 47만2천명, SK텔레콤 607만명 등 총 654만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를 본 국민들에 대해 SK텔레콤이 438억 6천만원(1인당 7천200원)을 보상했을 뿐, KT와 LG유플러스는 보상하지 않았다.
통신장애 재발 방지를 위한 통신사별 예산은 KT 206억원(2005년), SK텔레콤 11억 3천600만원(2014년 집행) 정도였고, 장애 예방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거나관련 예산을 마련한 통신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