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지기업들 조성사업 이어 절반 이상 공사 / 도내업체 수주율 전국 최저 '당초 취지 무색' / 김윤덕 의원, 국토부 자료 분석
전북혁신도시 조성사업은 물론 이전기관의 청사 신축과정에서도 지역 업체들의 참여가 매우 미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혁신도시 개발의 애초 취지가 퇴색되지 않도록 앞으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새정치민주연합 김윤덕 국회의원(전주 완산갑)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혁신도시별 신축청사 지역 업체 수주실적 및 하도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9월말 현재까지 전북업체는 혁신도시 청사 전체 공사비 4408억 8100만원 중 43.78%에 해당하는 1930억 1900만원을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에서도 가장 낮은 수치이며,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청사 신축공사에 참여한 지역 업체 평균 수주비율(50.03%) 보다 6.25%p나 낮은 것이다.
신축 청사의 지역 업체 수주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의 76.00%이며, 서울(66.31%)과 경북(56.05%) 등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대로 지역 업체 수주비율이 50%를 넘기지 못한 곳은 전북(43.78%)과 광주·전남(46.48%), 강원(47.67%) 등 3곳뿐이다.
이전기관별로 보면, 혁신도시 건설 사업에 대한 지역의무공동도급 시행(2010년 12월 6일) 이전에 발주된 농촌진흥청(지방이전 1공구)과 국립농업과학원(지방이전 2공구) 청사 신축에 전북 업체의 수주가 전무하다. 다만 기계설비·방수 등 하도급 공사에서 전북업체 3곳이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지역의무공동도급 시행 이후에도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40% 이상 도급이 가능하도록 했지만 국립식량과학원(지방이전 3공구)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지방이전 4공구)의 건축공사는 40%에 그쳤고, 국립축산과학원(지방이전 5공구)와 대한지적공사, 한국농수산대학, 전기안전공사는 43~50%를 지역 업체가 수주했다. 의지만 있다면 지역 업체들의 수주비율을 더 늘릴 수도 있지만 발주기관들이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김 의원은 “이미 발주가 끝나 건설공사가 한창이거나 마무리중인 사업은 어쩔 수 없다”면서도 “앞으로 신규 발주공사가 추가로 있거나 이전기관들이 입주할 때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애초의 혁신도시 조성사업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지역업체 수주비율을 높이고, 지역에서 사무용품 등의 구매를 늘릴 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북혁신도시 조성공사에서 전북 업체 공사 수주비율은 40.79%였으며, 수도권과 기타 지역의 건설업체 수주비율은 58.29%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