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시 자전거정책 '헛바퀴'

주행도로는 늘렸지만 공공보관소 관리 미흡 / 무인대여 시스템 없어

▲ 전주 고속버스터미널 앞 자전거 보관소의 펌프가 고장 나 방치돼 있는 모습(왼쪽)과 대전 주택가의 무인 자전거 대여·보관소.

자전거 타기 좋은 도시를 지향해 온 전주시의 선진 자전거 정책이 아쉽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자전거도로 개설에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했지만 공공자전거 시스템이나 보관소 관리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대전시 등에서 운영 중인 무인대여 시스템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12일 전주시에 따르면 시내에는 총 346개의 공영 자전거 보관소가 있다. 이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기업이나 아파트 등에서 건물 근처에 의무적으로 설치한 자전거 보관소는 제외한 수치다.

 

그러나 전주시내 곳곳의 자전거 보관소에서는 묶인 채 장기간 방치돼 사실상 버려진 자전거를 쉽게 볼 수 있고, 차양 시설을 갖추지 않은 곳도 많다. 전주시가 설치한 곳은 아니지만, 금암동 고속버스터미널 앞 자전거 보관소에는 구비된 펌프가 고장난 채 방치된 상태다.

 

또 전주시는 진북동과 교동 등 2곳에 공공자전거 대여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전주에 공공자전거 대여소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시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스무 대의 자전거가 비치된 진북동 전주천 둔치의 공공자전거 대여소에는 평일 약 10명의 이용자만 찾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치된 자전거도 전조등이 장착되지 않아 야간에는 이용할 수 없는 형편이다.

 

전주시는 지난 1997년부터 자전거 타기를 역점사업으로 추진, 현재 총 연장 17.24㎞의 자전거 전용도로와 351.6㎞의 자전거·도보 겸용 도로를 갖췄다. 자전거 기반시설 구축에는 장기간 공을 들였지만, 공공자전거 대여소나 보관소 등의 시설 마련에는 신경을 덜 썼던 것이다.

 

특히 전주시는 내년에도 ‘무인 자전거 대여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 자전거 대여시스템은 군산시·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남 창원시 등지에서 시민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지난해 자전거가 차지하는 전주시의 교통 분담률은 1.95%를 나타냈다. 전주시는 지난 2009년에 당시 2.3%인 자전거의 교통 분담률을 오는 2015년에는 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공공자전거제도 운영으로 잘 알려진 창원시는 지난해 자전거 교통 분담률이 13%에 달했다.

 

한편 대전시의 경우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시스템 144곳에서 1500대의 자전거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 공공자전거에는 야간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조등과 반사판이 장착돼 있다.

이영준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