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난해 12월말 기준 15만7126동 / 주거용 80% 달해 안전사고 우려 높아
전북지역 건축물 가운데 35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이 전체 건축물의 36.4%나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후 건축물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4년 12월말 기준 전북지역 건축물은 총 43만1189동이며 이 가운데 35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이 무려 15만7126동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30~35년 미만이 2만6968동, 25년~30년 미만은 2만500동, 20년~25년 미만도 4만5364동이나 된다.
통상적으로 건축후 20년을 경과한 건축물을 노후 건축물로 지칭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도내 건축물 가운데 20년 이상된 건축물은 24만9958동으로 전체 건축물의 58.0%를 차지하고 있어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를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다.
35년 이상된 건축물의 용도별 분포는 주거용이 12만5438동(79.8%)로 가장 많았으며 상업용이 1만3114동(8.3%), 공업용이 1228동(0.8%), 기타가 1만5403동(9.8%)으로 나타나 주거용 노후 건축물에 대한 보다 철저한 안전진단 및 관리가 요구된다.
전국적으로 살펴봐도 전북지역 노후 건축물의 심각성이 두드러진다.
전국의 건축물은 총 691만1288동이며 이 중 35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은 197만8819동으로 전체 건축물에서 28.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국과 비교할 때 도내 노후 건축물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수치다.
그러나 이들 노후 건축물에 대한 철저한 안전관리는 경제적 이유 등으로 사실상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이뤄져 익산시 모현동 우남아파트(1992년 입주)의 경우 처럼 건립된지 25년이 안됐는데도 붕괴위험으로 인해 익산시가 주민 대피명령을 내릴 정도의 상황마저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20년 이상된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의 경우 각 지자체별로 동당 400만원 범위내에서 주택수리비용을 지원하고 있고 공동주택도 공용시설에 한해 수리비의 일부를 보조하고 있다”며 “사유 건축물은 건물주가 원칙적으로 안전관리를 하고 지자체가 위험시설물의 현황을 파악해 보완조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