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개통 후 이용객 급증 / 주차면 턱없이 부족 불편 / 역 주변 불법주정차 극심
전주의 관문인 전주역 주차장이 주말과 연휴 한꺼번에 몰리는 차량들로 인한 주차난에 몸살을 앓고 있다.
이에 더해 전주역 입구도 극심한 불법 주·정차로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어, 주차장 증설 및 불법 주·정차 단속용 CCTV 설치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5일 전주역과 코레일 전북본부에 따르면 지난 4월 2일 호남선 KTX 개통 이후 하루 평균 전주역 이용자는 7600명이다. 이는 호남선 KTX 개통 이전의 하루 평균 이용자 6800명에 비해 800명(11.8%) 늘어난 것이다. 특히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진정국면에 들어서면서 전주역 이용객들도 다시 늘고 있다.
이에 비해 전주역 유료주차장의 주차면적은 98면에 불과해 역 이용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유료주차장은 코레일의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주)가 운영하고 있다.
실제 주말인 지난 4일 오후 전주역 주차장은 차량들로 가득 차 있었다.
운전자 A씨는 “최근 들어 이용자가 늘면서 주말과 휴일이면 만차 상태”라며 “호남선 KTX 시대를 맞아 전주역 이용자 편의를 위한 주차장 증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고질적인 전주역 입구 불법 주·정차로 인한 운전자들의 불편도 컸다.
역 입구에 마련된 택시 승차장과 인근 시내버스 승차장에는 차량들이 줄지어 늘어서 원활환 교통흐름을 해치고 있었다.
택시 운전원 B씨는 “택시 승차장 앞을 가로막은 차량들 때문에 정해진 차로를 벗어나 운행할 때가 많다”면서 “차로 확장이나 단속용 CCTV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전주역 주차장과 역 입구가 차량들로 극심한 혼잡을 빚으면서 지역정치권에서도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윤덕 의원(새정치민주연합·전주 완산갑)은 코레일 전북본부와의 정책간담회에서 전주역 주차장 증설 방안 마련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전주역은 역 입구의 불법 주·정차 단속 및 예방을 위한 단속용 CCTV를 설치해 줄 것을 전주시에 요청했다.
지난 3일 전주역 담당부서 관계자는 전주시를 방문, 이 같은 불법 주·정차 근절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코레일 전북본부 관계자는 “전주역 주차장 인근 화단에 주차면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관련 부서와 긴밀히 협의해 이용객들의 불편을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