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나주연구소 조사 / 금가루 입힌 300여자 확인
극락왕생의 염원을 담은 고대 인도문자들로 표면이 뒤덮인 고려시대 목관이 처음으로 세상에 드러났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상준)는 지난 해 12월 순창군 운림리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관곽(棺槨- ‘관’은 주검을 넣는 속널, ‘곽’은 속널을 담는 겉널)을 조사한 결과, 속널인 목관의 겉표면에서 금가루를 입힌 300여자의 범자(梵字)를 확인했다고 25일 발표했다.
범자란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말을 표기할 때 사용했던 문자로, 삼국시대에 인도로부터 전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도 고찰에 있는 불교 관련 유물에서 간간히 볼 수 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목관의 표면에 새겨진 범자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절에서 주로 썼던 범자의 글자체인 ‘실담체(6세기 무렵 창제된 범자를 적는 문자)’와 ‘란자체(10세기 무렵 창제된 범자를 적는 문자)’로 쓰였으며, 부처의 가르침을 함축해 표현한 문구(眞言)인 ‘육자진언(六字眞言)’과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흰색의 원형무늬가 각각의 글자 바깥을 장식하고 있다.
‘육자진언’은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六道)를 벗어나 부처의 세계에 태어나게 해달라는 ‘옴마니파드메훔’의 여섯 글자로 된 진언이며, ‘파지옥진언’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의미가 담긴 ‘옴까라데야스바하’의 일곱 글자로 된 진언이다.
조상순 연구관은 “고려시대 무덤에서 목관이 발견되는 사례도 흔치 않은데, 출토된 목관에서 ‘파지옥진언’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며 “불교문화가 당시 매장풍습에 영향을 미친 실체를 찾아낸 것” 이라고 말했다. 또 목관의 재질은 소나무이며,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결과 13~14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나는 게 조 연구관의 설명이다.
허일범 진각대학교대학원 교수는 “불상의 배안에 넣는 복장유물에서 범어가 발견되는 경우는 흔하지만, 목관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 고 말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수습된 목관에 대한 보존처리가 끝나는 대로 고분의 성격, 출토 유물, 범자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담은 발굴조사보고서를 다음해에 발간할 예정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