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최승범 시인이 삶의 좌표로 삼은 책

전북일보 연재글 엮은 〈향수어린 책〉 발간

 

풍류를 지닌 이 시대의 선비, 고하(古河) 최승범 시인. 일상을 노래한 현대시조를 개척하고 시집과 산문집 등 60권이 넘는 저서를 펴낸 시인의 문학적·철학적 근원은 무엇일까.

 

시인은 지난 2006년 본보에 1년여동안 ‘향수어린 책’을 연재하며, 삶의 좌표로 삼은 책 45편을 소개했다. ‘오거지서(五車之書)’할 만큼 다독해온 선생의 문학적 자양분이자 삶의 지혜로 삼은 책을 고아한 문체로 소개해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당시 연재했던 글을 책으로 묶었다. <향수어린 책> (시간을 물레).

 

시인을 문학의 길로 인도한 책은 일곱살때 접한 <추구(推句·抽句)> . 5언·7언의 명구를 옛 한시문에서 뽑아 옮겨 엮은 책 <추구> 로 한자를 깨치고 한시를 배웠다.

 

30대에 접한 <채근담(採根譚)> (현암사)은 지혜를 구할때 찾는 책이다. 시인은 “세상살이 팍팍하다 싶으면 꺼내 기대는 지팡이”라며 “몸을 부리자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추스르기 위함”이라고 소개했다.

 

문학에 마음을 두고 있는 시인은 <문학감상독본> (백민문화사, 1948재판)을 만났을때의 기쁨을 지금도 기억하고 있다. ‘문학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은 우리의 정신생활을 풍부히 하고 또 높이기 위해서다. 우리의 인생을 보다 가치있게 하려함이다. 감상함에 따라 자기 자신의 창작의욕도 충동받게 된다. 좋은 글을 다독하고 그 글에 친숙하는 가운데 문장의 묘리도 체득하게 될 것이다.’문학지망생에게 편자의 서문을 새겨볼 것을 추천한다.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해서는 <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草)> 를 들춰볼 것을 권한다. 시인의 스승이었던 가람과 석정을 비롯해 1950년대 호남지역 시인 11명의 작품집 <시와 산문-호남 11인집> 도 청정한 문학정신을 일깨우는 책으로 소개했다. 유자징이 스승 주자의 지시로 편찬한 <소학> , 정지용 시인의 <백록담> , 김기림 시인의 <시론> 도 시인의 문학수첩에 기록된 명저들이다.

 

팔순을 넘겨서도 꾸준한 글쓰기를 하는 선생은 현재 전북대 명예교수와 고하문학관 관장을 맡고 있다. 가람시조문학상, 목정문화대상, 한국시조대상 등을 수상했다.

김보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자치도, 재생의료특구 지정 위한 특별법 개정 본격화

정치일반새만금산단 입주기업, RE100 실현 ‘첫발’…태양광 발전설비 준공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