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익산 지진규모 3.9로 상향…기상청 "올들어 최대"

'실내 일부 사람 감지' 규모 3 이상은 5번째…올해 발생횟수 예년 비슷

기상청은 22일 오전 4시31분께 전북 익산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가 3.9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는 올들어 가장 큰 규모다.

 당초 기상청은 규모 3.5로 판정했지만 최종 정밀 분석한 결과 3.9로 규모를 상향했다.

 이날 지진은 오전 4시31분 25초께 전북 익산시 북쪽 9km 지역(북위 36.03도, 동경 126.96도)에서 발생했다.

 올해 규모 3.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세번째다.

 8월 3일 제주 서귀포시 성산 남동쪽 22㎞ 해역에서 규모 3.7 지진이, 1월 8일 인천 연평도 남서쪽 18㎞ 해역에서 규모 3.5 지진이 각각 발생했다.

 '실내의 일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정도'인 규모 3.0 이상 지진은 올들어 총 5회 발생했다.

 규모 3.0 이상은 통상 1년에 약 9차례 정도 발생한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규모 2.9 이하는 지진계에 의해서만 탐지가 가능하며 대부분 사람은 진동을 느끼지 못한다.

 지진 통계상으로는 규모 2.0 이상의 발생횟수를 집계한다.

 올들어 우리나라는 지진(규모 2.0 이상)이 44회 발생했다.

 연평균 발생횟수는 47.8회다.

 올해 연말까지 발생건수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 될 것으로 기상청은 전망했다.

 국내 지진의 역대 규모는 1980년 1월 8일 북한의 평안북도 의주·삭주·귀성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3 지진이 가장 컸다.

 공동 2위는 1978년 9월 16일 충북 속리산 부근에서 발생한 지진과 2004년 5월 29일 경북 울진 동쪽 약 80㎞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규모 5.2)이다.

 이어 지난해 4월 1일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쪽 100㎞ 해역 지진(규모 5.1)이 4위로 기록됐다.

 2003년 인천 백령도 서남쪽 약 80㎞ 해역과 1978년 충남 홍성읍에서 각각 발생한 지진(규모 5)은 공동 5위로 파악됐다.

 박종찬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우리나라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지 않고 전역에서 골고루 지진이 나타나고 규모도 크지 않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익산 지진 발생지는 대규모 단층이 있거나 특이점이 있는 지역은 아 니며 다른 지역 지진의 전조현상 등과도 무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익산 왕궁농협, 종합청사 신축공사 안전기원제 개최

사건·사고리모델링 공사 중 건물 발코니 바닥 붕괴⋯ 작업자 1명 숨져

사건·사고경찰, 음주운전하다 SUV 들이받은 20대 조사 중

기획[우리 땅에 새겨 있는 역사의 흔적]화암사에 피어난 꽃

정치일반1조 2000억 인공태양 유치 시동…전북 민·관·학 손잡고 대장정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