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학연구회 〈정읍학〉·농악풍물굿연구소 〈한국농악의…〉 출간 / 지역 전통문화자원 학술적 규명…농악, 역사·예술적 시각서 연구
정읍의 전통문화자원을 학술적으로 규명한 연구서가 잇따라 출간됐다. 정읍학연구회(회장 김익두)와 전북대학교 농악/풍물굿 연구소(소장 김익두)가 각각 <정읍학> 과 <한국농악의 지역성과 세계성-정읍농악을 중심으로> (민속원)를 펴냈다. 한국농악의> 정읍학>
<정읍학> 은 정읍지역의 역사와 문화, 민속 콘텐츠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모임인 정읍학연구회의 학술지다. 지난 2014년 창간호에 이어 두 번째 발간된 것으로, ‘정읍 풍류(風流)’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김익두 회장(전북대 국문과 교수)은 “21세기 문화운동의 화두는 풍류”라며 “정읍은 문학과 음악 놀이문화 등 풍류문화의 역사가 깊고 풍성해 그 본류를 분석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정읍학>
<정읍학> 은 ‘풍류’에 대한 학술적 해석으로 시작해, 정읍에서 태수를 지낸 것으로 전해지는 최치원의 ‘풍류사상’에 대한 학문적 접근, 선조들의 풍류 현장인 정읍 명소 낙성정(洛城亭), 내장산, 감운정(感雲亭)을 중심으로 한 풍류 양상을 규명했다. 정읍학>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한 향악과 역사가 깊은 무당굿, 시조, 창암 이삼만을 중심으로 한 서예, 그리고 정읍 지역 곳곳에 전해지는 전설 등이 정읍 풍류의 다양한 원형으로 소개됐다.
상정아(런던대 킹스칼리지), 최영성(한국전통문화대 교수), 신은경(우석대 교수), 이춘구(전북대 산학협력단 교수), 이영금(안동대 강사), 박대현(삼례 책박물관 관장), 김익두, 이용찬(브레이크뉴스 전북취재본부 부장)씨 등 정읍출신의 학자들이 글을 썼다.
지난 2014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농악. 전북은 정읍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등 전국에서 가장 많은 농악 무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들 농악 중에서도 정읍농악은 호남농악의 1번지로 꼽힐 만큼 역사가 깊고 근대화를 가장 먼저 시작한 곳이다. <한국농악의 지역성과 세계성-정읍농악을 중심으로> 는 이러한 정읍농악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중심으로 한국농악의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한국농악의>
우도굿의 특징과 한국농악에서 정읍농악이 차지하는 위상, 잡색 연행·오채질굿에 대한 연구 등과 농악테마파트조성과 농악 활성방안 등에 대한 제안도 담았다. 김헌선(경기대), 이용식(전남대), 허용호(고려대), 서정매(부산대), 김익두(전북대), 조정현(안동대)씨가 연구에 참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