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일상의 존재, 본질을 꿰뚫다…전병윤 시집 〈무뇌〉 출간

 

‘내가 가는 것은/ 내 목소리를 찾아내/ 뜨겁게 듣고 싶은 것이다/ 나 보다 성장한/ 푸른 나를 보고 싶은 것이다.’( ‘서시’중)

 

전병윤(81) 시인에게 시 세계는 가도 또 가도 끝이 없는 길이다. 장미꽃이 보일 듯 먼 길, 깊은 산 높은 바다를 건너는 고독한 길을 멈춤 없이 달려왔건만 시에 대한 목마름은 여전하다. 그 갈망을 담아 네 번째 시집 <무뇌(無腦)> (도서출판 북매니저)를 냈다.

 

간월암, 채석강, 무녀도, 전쟁기념관, 오렌지, 빈대, 한옥마을과 다람쥐 등 일상에 존재하는 것들의 주제로 하지만 현상을 넘어 본질을 바라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땅콩회항, 부러진 화살 등 사회문제도 다루며 보이지 않는 힘의 부조리를 드러낸다.

 

‘별에도 달에도 없는 모자 전관예우,/물길을 트기도 막을 수도 있는 감투/참으로 큰 이빨들이 깨끗도 하겠다//올챙이는 몸보다 꼬리가 더 큰 법/어느 날 꼬리를 감쪽같이 감추고/개고리 되고나더니 두꺼비도 되겠다.’( ‘관피아’ 중)

 

관료와 마피아가 결합된 말, 관피아. 관료들의 이익 카르텔을 엉뚱하지만 예리하게 풍자하고 있다. 이동희 시인은 그의 시에 대해 “글자 수와 행 갈음 같은 조건들에 간섭받는 시조 형식의 작품임에도 매우 예리하게 풍자하고 있다”며 “아주 냉소적이지 않으면서도 비판적으로 닫힌 정의감과 양심의 안목을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안 출생인 그는 진안군, 김제군 등 8개 군 농촌지도소장을 지냈다. 지난 1996년 <문예사조> 신인상으로 등단해 열린시문학회장, 진안문협 초대회장 등을 지냈으며 현재 전북문인협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김보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여야, 소방의날 맞아 "소방 공무원 헌신에 감사"…제도지원 약속

정치일반“인권침해 신고하려면 광주까지”…전북도, 인권사각지대 여전

정읍정읍 내장산 가을 단풍 물들다…"다음 주중 절정 예상"

정읍윤준병 국회의원, 정읍역 광장 재구조화 사업 구상 제시

사회일반전북 112 거짓신고 매년 증가⋯"처벌 강화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