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치워도 치워도 쌓이는 불법 광고물…길거리 '몸살'

전단지 등 무차별 배포 / 전주시, 마땅한 근절대책 없어 '골머리'

▲ 23일 전주 서부신시가지에 주차된 차량 위에 불법 광고물이 어지럽게 놓여 있다. 박형민 기자·

전주시로 부터 위탁을 받아 덕진구 가로환경 정비를 하는 A업체의 하루 일과 중 가장 큰 일은 바로 길거리에 버려진 각종 불법 전단지 수거다.

 

매일 거리를 쓸고 쓸어도 하룻밤 새 길거리에 수북이 쌓인 각종 전단지를 볼 때마다 직원들은 한숨부터 쉰다.

 

A업체 관계자는 “전북대학교 앞 대학로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기 때문에 업체들의 전단지 배포가 극성을 부리는 곳”이라며 “전날 청소를 마치고 새벽에 출근하면 새로운 ‘전단지 밭’이 생겨나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일반 지역보다 4배의 인력을 투입해 일요일에도 작업하고 있고, 불법 광고물과 관련해 구청에서 단속도 나오지만 발생하는 전단지의 양은 비슷한 것 같다”고 한숨 짖고 “유동인구가 더욱 많은 서부신시가지 가로정비 쪽은 더욱 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시내 곳곳이 각종 현수막과 전단지, 명함대출광고 등 불법 광고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주택가와 대학로, 상가밀집구역 등지에 뿌려지는 불법 광고물이 근절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최근에는 시의 단속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23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단지와 현수막 등 불법 광고물 수거건수는 덕진구 25만583건, 완산구 30만5922건이며, 이들에 부과한 과태료 액수는 모두 3억9000여만 원에 달한다.

 

양 구청에는 하루 평균 10여 건의 불법 광고물 관련 민원이 접수되고 있는데 민원 접수 후 단속을 나가 불법 광고물을 수거하고, 과태료를 부과하는 일이 매일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끊임없는 단속에도 불구하고 불법 광고물이 근절되지 않으면서 시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늘어난 오토바이를 타고 가면서 날리는 불법 명함형 전단지도 큰 골칫거리다. 이 명함형 전단지 업체들은 대부분 명함에 대포폰 번호를 적어놔 실질적인 단속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 관계자는 “불법 광고물을 배포하는 오토바이 운전자를 잡기 위해 경찰서와 공조해 단속에 나서지만, 대부분 번호판 없는 오토바이를 타고 달아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붙잡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며 “지난해 단속에 나선 구청 직원이 불법 명함형 전단지를 배포하는 오토바이를 쫓다가 다치는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현재는 예산이 소진돼 시행하고 있지 않지만, 지난 3월 실시한 ‘불법 광고물 시민수거보상제’에서 32만6300건의 불법 광고물들이 수거됐을 정도로 수거량이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예산이 편성되고 제도가 뒷받침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불법 광고물 단속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천경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