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에선 내 집 마련·결혼하기 힘들어"

전주 청년 평균 월급 140만원…지출액은 85만원 / 부모 도움·빚 없이 생활하려면 월 305만원 필요 / 전주청년보고서 발표회

“고향을 떠나는 청년들 비난만 할 수는 없습니다. 전북에 남아도 내 집 마련과 결혼하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부모 도움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청년정책 마련이 절실해요”

 

지난 24일 전북대 진수당에서 비영리 시민단체 ‘청년들’주최로 열린 ‘2016 전주청년보고서 발표회’에 모인 젊은이들은“고향에 남아도 낮은 소득 수준과 기회가 적은 것은 마찬가지”라면서“양질의 교육과 더 많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도 빈곤을 벗어나기 힘든 딜레마에 봉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고 말했다.

 

전주지역 청년들은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하지 않고,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최소한의 월급 수준으로 평균 305.5만원을 생각해 실제 조사된 평균 월 소득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제를 맡은 ‘청년들’의 신동훈 연구원은“부모의 도움과 빚 없이 최소한 생활에 필요한 소득 수준으로 청년들이 이 같이 판단한 데에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비영리 시민단체 ‘청년들’이 전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19세~39세 까지의 청년들 1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주 청년들의 평균 월 소득은 140.7만원 수준으로, 한 달 평균 지출액은 85.5만원 이었다. 이 조사결과에 의하면 전주에 사는 청년들이 매달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은 최대 55만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현재 주택가격과 소비자 물가를 생각한다면 내 집 마련과 결혼자금, 육아비용을 감당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실제 전주 청년들이 현재 포기하고 있는 부분을 묻는 조사에서도 내 집 마련(34.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꿈·희망(29.4%), 결혼(29.0%), 연애(25.4%), 스펙(22.1%), 출산(22.0%) 순으로 집계 됐다.

 

하지만, 올해 전주시 예산 1조3403억 중 청년사업 예산은 11.1억원으로 전주시 총 예산 중 0.08%에 불과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전주를 떠나 서울에 정착할 생각이라는 김지윤 씨(31·전주 평화동)는“부모님의 지원을 기대하기 힘든 사람들은 고향에 남아있을 필요가 별로 없다”며“차라리 서울에 터를 잡는 것이 다음세대를 위해 더 희망적이다”고 말했다.

 

한편 호남지방통계청의 ‘전북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도내 청년 인구는 2000년대 들어 매년 2만여명 씩 급속하게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20대 인구 유출이 가장 심각하다.

 

가장 큰 전출 이유는 일자리 부족과 낮은 소득 수준이다.

관련기사 [저성장시대 전북경제-(상)경제지표 하향세] 주력산업 수출 '침체'·청년실업 '사상 최고'
김윤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산중위 전북정치권 공백…AI·에너지 현안 출혈 불가피

국회·정당국회, 내년도 예산안 종합정책질의 시작

사람들데이터로 도시를 짓다…전북 건축문화상 학생부문 대상 전주대 박인호 학생

정치일반李대통령, 울산 매몰사고 “인명구조에 가용자원 총동원하라”

정치일반전북, 1조 원대 ‘피지컬 AI’ 상용화 사업 전 실증사업 마무리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