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10억 이상 자산가 3500명

전국 21만1000명 중 고작 1.65% 차지 / 'KB금융경영연구소'2016 부자 보고서'

금융자산이 10억원 이상인 한국의 부자는 21만 1000명으로, 지난 1년만에 15.9%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자산이 200억원이 넘는 ‘초고자산가’는 8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 지역에서 10억원 이상 금융자산 소유자는 3500명으로, 전국(21만1000명)의 1.65%에 그치고 있다.

 

KB금융경영연구소가 6일 발표한 ‘2016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금융자산이 10억원 이상인 한국의 부자는 절반 가까이 서울에 살고 있었다.

 

서울부자(44.7%,9만 4000명)에 이어 △경기(20.3%,4만 3000명) △부산(7.0%.1만 5000명)순이었다.

 

서울에선 서초·강남·송파 등 강남 3구의 부자 비중이 36.7%(3만 400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양천구 △동작구 △영등포구 등의 순이었다.

 

한국 부자들의 주된 자산축적 방법은 사업체 운영(38.8%), 부모의 증여·상속(26.3%), 부동산(21.0%)순으로 많았다.

 

하지만 총 자산 규모가 클수록 부모의 증여·상속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큰 부자는 상속을 통해 가능해지는 구조가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금융자산 중에는 현금과 예·적금이 42%를 차지하며, 보험 19%, 주식 및 펀드 등이 약 3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이 많을수록 현금·예적금 비중이 감소하고 신탁·ELS 등의 간접투자 상품과 채권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았다.

 

부자들은 은퇴 후 평균 생활비로 일반인(평균 226만원)의 3배 수준인 715만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일반인은 공적연금을 통한 노후 준비율이 약 64%에 달하는 반면, 부자의 경우 부동산 및 예적금·보험, 직·간접투자 등 투자자산을 다양하게 활용해 은퇴후 생활을 준비했다.

위병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