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 신청자 93명…"전북권 병원도 조사 나서야"

등급 판정 절차 6개월 넘게 시작도 안돼 / 정부 추가 의료기관 조율, 전북은 제외

전북지역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 신청자가 93명(사망 21명)에 달했지만 등급 판정까지는 첩첩산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차 피해 신청자에 대한 등급 판정 절차가 6개월이 넘도록 시작도 안된 상황에서 정부가 추가 조사기관을 조율하고 있지만, 전북지역 의료기관은 대상에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밝힌 ‘1~4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청자 현황’에 따르면 전북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청자는 총 135명(사망 26명)으로 집계됐다.

 

시기별로는 1차 조사(2011~2013년) 8명, 2차(2014년) 6명, 3차(2015년) 28명, 4차 조사(2016년 4월 25일~9월 22일) 93명 등이었다.

 

기존 서울 아산병원 한 곳에서 1~3차 피해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피해 조사를 나선 정부는 한계를 느끼고 전국 9개 병원을 추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부가 추가하기로 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 조사기관은 수도권(국립중앙의료원·서울대병원·분당 서울대병원·서울성모병원·서울삼성병원), 부산(인제대 해운대백병원), 광주(전남대병원), 대구(대구파티마병원), 천안(단국대병원) 지역 9개 병원만 거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북을 비롯해 상당수 지역에서는 여전히 피해 조사를 받기가 불편한 실정이다.

 

전북지역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 신청자 93명(사망 21명)은 거리상 인접한 전남대병원을 이용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전남과 광주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청자(157명)도 적지 않은 상황에서 신속한 조사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가습기 살균제 피해 조사 업무가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측면도 없지 않아 전국 병원의 자발적인 참여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의료계에서 나오고 있다.

 

게다가 3차 피해 신청자 일부는 아직도 등급 조사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해 12월 3차 피해 신청을 한 A(49) 씨는 “가족 3명이 함께 기본적인 서류조사는 마쳤지만 아직 검사 일정이 나오지 않았고, 고등학생인 딸은 담당의가 여름휴가인 관계로 검사 일정이 미뤄졌다”고 말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지원센터’ 관계자는 “현재 3차 피해 신청자를 대상으로 서울 아산병원에서 순차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조만간 피해 조사기관을 확대 선정하고, 내년 초에 다시 의견을 수렴해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북대병원 관계자는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참여 의사를 묻는 과정은 없었다”면서 “정부의 요구가 있고, 도내 피해 신청자들의 수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가습기 살균제 피해 조사에 나서지 않을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사무처장은 “현재 폐 손상의 정도만을 판단하는 등급 판정 조사도 이렇게 지지부진한데, 폐 이외 다른 장기의 피해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전국 거점 종합병원의 동참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남승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읍정읍 내장산 가을 단풍 물들다…"다음 주중 절정 예상"

정읍윤준병 국회의원, 정읍역 광장 재구조화 사업 구상 제시

사회일반전북 112 거짓신고 매년 증가⋯"처벌 강화해야"

법원·검찰檢총장대행 이례적 입장문…"대장동 항소안하는게 타당…제결정"

자치·의회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경쟁…전북 '불리론'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