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 여의지구 도시개발 '난항'

여의동·만성동·장동 일원 19만평 규모 / 시, 탄소산단 조성 어려워지자 소극 대처 / 개발公 "5년뒤 수요 증가…조속 진행을"

전북개발공사(사장 고재찬)가 올 12월 전주 만성지구 도시개발사업 완료를 앞두고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는 ‘전주 여의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전주시의 소극적 입장 표명으로 난관에 부딪혔다.

 

전주 여의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전주시 여의동, 만성동, 장동 일원 64만4000㎡(19만5152평)를 개발하는 것으로 주택 3577세대를 비롯해 상업시설과 교육시설, 공공기관 등 다양한 도시기반 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특히 전주 여의지구가 개발되면 전북혁신도시, 만성지구를 포함해 약 1200만㎡(363만 평) 규모의 3개 지구를 연계한 전주 서북부권 일대 대규모 신도시가 조성되기 때문에 전주시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된다.

 

전주 여의지구의 유상공급 면적은 35만1100㎡로 전체 개발면적의 54.5%이며 주택건설 용지는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준주거 시설 등 총 30만2500㎡로 전체 개발면적의 47.0%에 달한다.

 

추정 사업비가 2766억 원에 달하는 여의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지난 2014년 12월 전주 탄소국가산업단지 조성이 확정 발표된 이후 시동이 걸렸다.

 

2015년 7월 개발행위 허가 제한지역 지정·고시에 이어 8월 전북개발공사 이사회 승인, 같은 해 9월 전북도의회 의결을 거친 뒤 올해 6월부터 사업추진과 관련해 전주시와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갔다.

 

전북개발공사는 전주시와 협의를 거쳐 올해 안으로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을 위한 용역을 발주하고 내년 6월 여의지구 개발 계획 수립 및 구역을 지정한 뒤 2018년 6월 실시계획 인가를 거쳐 2019년 3월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주시가 전주 탄소산단 조성사업이 예타를 통과 못해 난항을 겪고 있는데다 주택 과잉공급 우려와 원도심이 침체돼 있는데 새로운 신도시를 조성하는 것에 신중한 입장을 밝히면서 사업 추진이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다만 전북개발공사의 요청을 받아 들여 향후 개발을 위해 형질 변경이나 건축 인·허가는 불허하고 있다.

 

전주시는 전주탄소산단과 여의지구 개발을 연계해 추진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주 탄소산단 조성에 필요한 토취장을 여의지구 개발로 적기 제공할 계획인 것이다.

 

그러나 전북개발공사는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향후 5년 뒤에 신규 주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여의지구 개발사업이 조속히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북개발공사 관계자는 “현재는 주택공급 과잉 우려 등이 제기되고 있지만 5년 뒤에는 신규 주택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토지 매입과 주택 건설 등에 5년 정도가 걸리는 점과 체계적인 서북부권 개발로 전주시의 외형적 성장 및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서둘러 여의지구 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현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장수장수군, 2025년산 공공비축미 건조벼 매입 시작

고창가수 정삼·이청아, 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위촉

자치·의회전북 하수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고창심덕섭 고창군수, 김병기 원내대표·한병도 예결위원장 만나 지역 핵심사업 건의

정치일반정년 1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미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