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밥상 물가 껑충…서민들 "장 보기 두렵다"

계란·무·양배추·당근·두부…"사람이 먹는 것은 다 오른 듯" / 농축수산물 가격 3배까지 폭등…설 앞두고 '물가대란' 우려

연초부터 서민들의 밥상 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에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이 훌쩍 뛴 데다 ‘설상가상’으로 계란은 물론 채소와 갈치·오징어 등 농축수산물 값까지 뛰었다.

 

이에 따라 설 연휴를 앞두고 전반적인 물가대란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가격통계(KAMIS)에서 6일 자 기준 주요 농축수산물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평년(직전 5년 평균)과 비교해 가격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넘는 농축산물이 수두룩했다. 심지어 값이 두 배 이상 오른 품목도 적지 않았다.

 

무의 평균 소매가격은 1개당 3096원으로 평년(1303원)의 2.4배(137.6%↑) 수준까지 치솟았다. 지역에 따라서는 무 한 개가 4000원에 팔리고 있었다,양배추도 한 포기에 5578원으로 평년(2630원)의 2.1배(112.1%↑), 1년 전(2407원)의 2.3배(131.7%↑)에 이르렀다.

 

당근(1㎏ 6026원)은 평년(2692원)의 2.2배(123.8%↑)로, 1만 원(전국 최고가9400원)에 육박했다.

 

배추 역시 한 포기에 4354원으로 1년 전(2220원), 평년(2893원)보다 각각96.1%, 50.5% 뛰었다.

 

깐마늘, 대파 등 주요 양념류도 평년 대비 가격이 30% 이상 올랐고, 최근에는 태풍으로 제주도 콩나물이 큰 피해를 보면서 콩나물 가격도 17%나 급등했다.

 

이 밖에 오이, 시금치, 토마토 등의 가격도 최근 오름세를 타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로 품귀 상태인 계란을 비롯해 한우·수입 쇠고기 등 축산물 가격도 심상치 않다.

 

계란(특란)은 한판(30알) 평균 소매가가 8960원으로 평년(5539원)보다 61.7%나 높다. 한우 갈비와 등심도 평년보다 각각 19.9%, 22.9% 올랐고 미국·호주산 등 수입 쇠고기 역시 6~13% 가격이 뛴 상태다. 국산 냉장 돼지고기 삼겹살(100g)도 평년보다 7.5% 비싸다.

 

수산물 가격도 만만치 않다.

 

갈치는 한 마리에 9759원, 마른오징어는 열 마리에 2만8534원으로 평년보다각각 21.2%, 20.1% 올랐다. 평년 2597원 정도였던 물오징어(한 마리) 가격도 14.5% 비싼 2974원에 팔리고 있다.

 

필수 ‘먹을거리’로서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농축수산물 물가는 최근 전체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분위기다.

 

소비자원이 주요 생활필수품 128개 품목의 지난해 12월 평균가격을 전월과 비교한 결과, 상승률 상위 10위권에는 감자·당근·오이·대파·배추·된장·오징어 등 주요 식품이 줄줄이 포함됐다.

 

신선식품 외 최근 식용유와 두부 등 가공식품 가격까지 들썩이면서, 연초부터 “장 보기 두렵다”는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도농 상생 한마당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싹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

사건·사고익산 초등학교서 식중독 의심 환자 18명 발생⋯역학 조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