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하수도 요금 오르니…목욕탕 요금도 들썩

전주지역 일부 업소들 최대 2000원 인상 / 이용자들 "시설·서비스는 그대로" 분통 / 업계 "매년 공공요금 올라 유지 힘들어"

#1. “올해부터 800원 더 내셔야 합니다.” 지난 3일 오후 전주시의 한 대형 목욕탕을 찾은 정모 씨(32)는 ‘사우나 요금 현실화 안내’라는 안내문을 읽고 당황했다. 하수도 요금 인상으로 더 이상 견디기 어려워 올해 1월 1일부터 어쩔 수 없이 요금을 인상함을 양해해달라는 내용이었다. 정 씨는 “월급은 안 오르는데, 물가는 오르니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2. “시설이나 서비스 개선도 전혀 없이 목욕 요금을 한 번에 2000원 이상 올린다는게 말이 되는 겁니까.” 최근 호텔 사우나를 찾은 박모 씨(60)는 어느 날 갑자기 크게 오른 목욕 요금에 분통을 터뜨렸다. 박 씨는 “낡은 헤어 드라이기를 사용할 때마다 머리카락이 타지 않을까 걱정될 정도”라며 “시설이나 서비스 개선은 없이 요금만 올려 고객을 봉 취급한다”고 비난했다.

 

최근 전주시내 일부 목욕업소들이 하수도 요금 인상을 이유로 목욕 요금을 올리면서 시민들의 지갑에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 5일 전주시내 S목욕탕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기존 6000원(대인 기준)이던 목욕 요금을 6800원으로 전격 인상했다. 이 목욕탕 관계자는 “하수도 요금의 부담이 커 고심 끝에 요금을 인상했다”며 “고객들의 반발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다른 R목욕탕은 지난달 16일부터 7700원이던 목욕 요금을 9900원으로 무려 28%나 올렸고, 전북대 인근의 한 목욕탕은 지난해 6000원에서 7000원으로 요금을 인상했다. 진북동의 한 목욕탕은 지난해 5000원에서 6000원으로 요금을 인상했지만, 올해도 요금 인상 여부를 고민 중이다. 갑작스런 목욕 요금 인상에 이용객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지만, 불만의 목소리는 역설적으로 ‘요금을 올린’ 목욕업계 측에서 더 크게 나오고 있다. 최근 3년간 하수도 요금이 계속 올랐고 치솟는 인건비와 수도세, 전기세, 가스비 등을 고려할때 목욕 요금을 올리지 않으면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라는 것이다.

 

하수도 사용료는 가정용과 일반용, 대중탕용, 산업용으로 나뉘며 사용량에 따라 누진제가 적용되는데, 전주시의 ‘공공하수도 사용료 산정기준’에 따르면 대중탕용의 경우 2001톤 이상 톤당 하수도 요금이 지난 2014년 330원에서 2015년 540원(63%↑), 2016년 680원(25.9%↑), 2017년 780원(14.7%↑)으로 매년 올랐다.

 

가정용도 1~20톤 기준 톤당 하수도 요금이 지난 2014년 210원에서 2015년 280원(33.3%↑), 2016년 350원(25%↑), 2017년 400원(14.2%↑) 등으로 올랐다.

 

한국목욕업중앙회 전북지회 이진식 회장은 “하수도 요금 인상으로 목욕탕들이 고육지책으로 요금을 올리고 있다”며 “전주시에 등록한 목욕탕 중 상당수는 실제 운영을 하지 않을 정도로 힘든 속사정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목욕탕들이 한 달 평균 2000톤 가량의 물을 쓰는데, 상하수도 누진제의 폭을 더 넓혀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최근 3년간의 요금 인상은 2014년 행정자치부가 물값 현실화 차원으로 각 자치단체에 조례를 시행하라는 지시의 결과”라며 “목욕업계의 어려움을 이해하지만 물가모니터링요원을 활용해 심각한 시장 경제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목욕탕 요금은 정상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주지역 목욕탕은 지난 2004년 105개에서 지난해 66개로 줄었다.

남승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지역위원장 5파전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도농 상생 한마당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싹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

사건·사고익산 초등학교서 식중독 의심 환자 18명 발생⋯역학 조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