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정 시의원 5분 발언 / 도내 환경단체 7개 정책, 대선 후보들에게 제안도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해 정부만 바라보고 있을 것이 아니라 전주시 등 기초단체 차원의 구체적인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도내 환경단체들도 미세먼지를 줄이기 정책을 19대 대선 후보들에게 제안하고 나섰다.
전주시의회 김순정 의원(비례대표)은 20일 열린 제33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전주시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대응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 의원은 “최근 미세먼지에 이어 지름 2.5㎛(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미세먼지 입자를 지칭하는 ‘초미세먼지’ 문제 역시 그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자 관심사가 됐다”며 “이미 2013년 국제 암 연구소와 WHO에서는 이런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2005년 첫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발표한 이래 약 12년간 비슷한 정책을 재탕, 삼탕 하고 있는 현실에서 서울시, 대전시, 대구시, 경남 등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자체별 미세먼지 농도 저감 대책을 발표하고 추진하고는 있으나, 상황은 녹록지 못하다”며 “기초단체에서 무슨 대응책을 내놓을 수 있겠느냐는 입장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 무엇인지 꼭 찾아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주시만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 중장기 플랜 마련 △전주시만의 예보체계 구축 △미세먼지 발생 예방과 저감 대책과 관련된 시민 행동요령 매뉴얼, 교육, 홍보 시스템 적극 개발 △미세먼지 줄이기 시민운동 전개 △전주시 관내 각종 관공서 미세먼지 마스크 비치 등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많은 시민들이 미세먼지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현실에서, 전주시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추진해 시민 건강을 최우선시하는 전주시의 모습을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도내 환경단체도 2020년까지 미세먼지 오염 수준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한 미세먼지 7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19대 대선 후보들에게 제안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20일 오전 11시 전주시 전동 풍남문 광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도의 미세먼지 농도는 16개 시도별 평가에서 항상 상위권인데, 전방위적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 필요하다”며 “2015년 시도별 미세먼지(PM10)현황을 보면 전북은 50㎍/㎥을 기록해 전국에서 3번 째로 높은 도시라는 오명을 남기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전북환경운동연합이 제안한 정책은 △미세먼지 관리 기준 강화 △대기환경보전법을 수도권대기환경특별법 수준으로 강화 △석탄발전소 축소 및 신규 계획 중단 △자동차 교통수요관리 정책 강화 △어린이 노인 등 취약계층 미세먼지 별도 기준 및 대책 수립 △산업 부문의 에너지 수요관리와 재생에너지 확대 △동북아 공동연구를 통한 대기오염 상호영향의 과학적 규명 등 7개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사무처장은 “19대 대선에 출마한 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후보는 ‘미세먼지 보호 대책’을 10대 공약에 포함시켰다”며 “후보들의 공약이 표심을 얻기 위한 선언적인 구호에 그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백세종, 남승현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