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전년동기대비 68.9% 급감 / 부동산 규제 강화·금리인상 주원인
전북지역 올해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이 지난해 동기에 비해 전국에서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의 건축 인허가 면적은 3875만5000㎡로 전년 동기보다 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6.1% 감소한 1713만5000㎡, 지방은 2.4% 줄어든 2162만㎡로 수도권의 인허가 면적 감소폭이 컸다.
이는 부동산 규제와 금리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택 시장이 위축되면서 주거용 건물의 인허가 면적이 대폭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실제 용도별 건축 허가 면적에서 주거용은 1601만5000㎡로 전년동기 대비 12.1% 감소했고 상업용은 159만2000㎡, 공업용은 355만5000㎡로 각각 3.5%, 7.5% 감소하는데 그쳤다.
전북지역의 경우 올해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136만9000㎡로 전년동기 대비 68.9% 급감했다.
용도별로 인허가 면적은 주거용이 46만6000㎡(1373동), 상업용 25만4000㎡(773동), 공업용 10만㎡(161동), 문교·사회용 13만5000㎡(105동), 기타 41만2000㎡(912동)인 것으로 집계됐다.
주거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아파트가 24만3000㎡(37동), 단독주택 10만4000㎡(1072동), 다가구주택 9만4000㎡(220동), 다세대주택 7000㎡(21동), 다중주택 2000㎡(10동) 등으로 나타났다.
상업용은 제1종 근린생활시설이 10만㎡(297동), 제2근린생활시설 10만4000㎡(389동), 판매시설 7000㎡(11동), 숙박시설 1만7000㎡(21동), 자동차 관련 시설 1만7000㎡(34동) 등으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100㎡ 미만이 1634동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100㎡∼200㎡ 미만 599동, 300㎡∼500㎡ 미만 407동, 500㎡∼1000㎡ 미만 280동, 200㎡∼300㎡ 미만 173동, 1000㎡∼3000㎡ 미만 165동, 3000㎡∼1만㎡ 미만 59동, 1만㎡ 이상 7동 순을 보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