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학술상 열두 번째 수상자로 문학박사 서철원 씨(전주대 겸임교수)가 선정됐다. 수상 작품은 2016년 전북대 박사학위 논문인 ‘ <혼불> 의 탈식민성 연구’. <혼불> 의 후반부 공간이 왜 만주까지 확대됐는가에 주목하면서 일제강점기 민족의 정체성 회복과 관련해 ‘전통의 복원’과 ‘민중의 역사’가 소설 <혼불> 의 주제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원류로 소설 내부에서 고안된 탈식민의 성격을 다각적으로 검토한 논문이다. 혼불> 혼불> 혼불>
심사는 전북대 장성수 명예교수와 한려대 전흥남 교수, 제5회 혼불학술상 수상자인 김병용 씨가 맡았다.
전흥남 교수는 “수상논문은 <혼불> 이 지닌 추상적 의미들이 우리 민족 구성원의 신체적·정신적 경험 유인자에 의해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으며, 이들은 재생·소통·회복의 의미로 전통을 복원시켜가고 있음을 밝혔다”고 평했다. 혼불>
수상자인 서철원 씨는 “ <혼불> 에 깃든 불멸의 정신, 그 높고 외로워서 가시밭길 같던 선생의 문학은 그 자체로 ‘혼불’이었다”면서 문장의 탑을 쌓으며 살아갈 이유가 또 하나 생겼다고 소감을 말했다. 혼불>
장편소설 <왕의 초상> , <혼,백> 등을 발표한 소설가인 서 씨는 논문 ‘최명희 <혼불> 의 인지의미론적 연구’(현대문학이론연구·2015), ‘ <혼불> 과 <아바타> 의 탈식민성 연구’(국어문학·2016) 등도 발표했다. 아바타> 혼불> 혼불> 혼,백> 왕의>
시상식 및 수상 기념 강연은 다음달 21일 오후 4시 전주 최명희문학관에서 열린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