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인사담당자 58.9% "불합격 통보 안한다"

 

인사담당자 58.9%가 자사 채용 진행시 탈락자에게 별도의 불합격통보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합격통보를 한다고 밝힌 곳 중에서도 ‘정확하고 구체적인 탈락사유를 알려준다’는 응답은 14.7%로, 조사에 응한 전체 인사담당자 중에서는 6%에 그쳤다.

 

잡코리아가 최근 인사담당자 530명을 대상으로 ‘불합격 통보’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결과 인사담당자들에게 채용 진행 후 합격통보와 별도로 불합격통보를 하는지 물었다. 인사담당자 중 41.1%만이 ‘불합격 사실을 통보한다’고 했고, 이보다 많은 58.9%의 인사담당자들은 ‘불합격 통보를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불합격 통보는 주로 문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합격통보를 한다고 밝힌 인사담당자 218명에게 그 방법(복수응답, 이하 응답률)을 물은 결과 △문자가 71.1%의 압도적인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 △담당자의 직접 전화 안내와 △이메일 통보가 각각 22.0%의 응답률을 얻었으며, △자사 채용페이지를 통한 합격 여부 조회/공지가 17.4%로 나타났다. △ARS전화안내(2.3%)한다는 응답도 있었다.

 

불합격 통보를 할 때도 불합격 사실과 함께 구체적인 탈락 사유를 알려주는 곳은 14.7%에 그쳤다. 만약 불합격 통보를 하지 않는 인사담당자까지 포함할 경우 전체 응답자 중 탈락 사유를 알려주는 곳은 6%에 불과하다. 불합격 통보를 하는 경우 53.2%는 ‘다만 회사와 맞지 않았을 뿐이라는 의례적인 이유를 단다’고 밝혔으며, 32.1%는 아예 ‘탈락 사유에 대한 언급 없이 불합격 사실만 고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탈락한 이유를 알고 싶다는 취준생들의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자 인사담당자 88.5%가 ‘충분히 그런 생각을 할 수 있다’며 ‘이해한다’고 밝혔다. ‘탈락의 이유까지 알려 달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며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은 11.5%에 그쳤다. 잡코리아(유) 전북지사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학·출판전주문인협회 ‘다시 읽는 나의 대표작’

문학·출판교육 실종 시대에 던지는 질문, 신정일 ‘언제 어디서나 배웠다’

교육일반전북교육청, ‘깜깜이 5급 승진’ 의혹 해소 촉구

건설·부동산전북 상업용 부동산, 임대 정체에 수익률도 전국 하위권

경제김민호 엠에이치소프트 대표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