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조례제정 등 총력…전 부서 참여 TF기구 구성
다음달 도시숲 조성 위해 '1000만 그루 나무심기'도
전주시가 ‘미세먼지 전북’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총력전에 나선다.
전국에서 가장 더운 도시라는 악명도 떨쳐내기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전주시 전체 부서가 참여하는 TF 형태의 미세먼지 대책 추진기구도 구성하는 등 민선 7기 전주시의 역점 사업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최근 전북일보를 방문한 김승수 전주시장은 “다음달 중으로 도시숲 조성을 위한 1000만 그루 나무심기 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라며 “전주시와 전북지역 각 기관별 협조를 통해 나무를 심을 예정이며 관리는 전주시가 맡고, 각 나무에는 전주시민들의 이름 하나하나를 붙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린아이부터 어르신에 이르는 모든 시민들이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 걱정과 열섬 현상 없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생태도시 전주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시장이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한 이 같은 강력한 정책의지를 밝힌 가운데 21일 전주시의 한 관계자는 “매년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전주, 전북이라는 오명을 떨쳐내기 위해 (가칭)맑은공기추진본부나 위원회가 조만간 구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 조직은 시장이나 부시장이 위원장이 돼 전주시 미세먼지와 열섬현상에 대응하게 된다”며 “조만간 이 조직에 대해 전문가들이 참여해 구체적인 구성과 조직 운영 계획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조직은 환경분야 일부 부서가 아닌 생태와 교통 등 시청 관련 부서가 함께 참여하는 TF형태로 운영될 전망이며, 시는 올해 안에 조직 구성을 완료한 뒤 본격 사업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이는 김승수 시장이 지난 선거에서 전주를 미세먼지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맑은 공기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공약한 것과 궤를 같이한다.
김 시장은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맑은 공기 선도지역’ 추진 △도시 숲 및 가로수 조성사업 확대 추진 △미세먼지 민감 계층 보호 △반려생명 친화도시 조성 △시민 생태 여가 공간 조성 등 5대 환경공약을 제시했다.
수도권 미세먼지 저감에 관한 특별법처럼 전주시와 전북도의 미세먼지를 개선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전주시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예방 및 저감지원 조례’(이하 ‘미세먼지 저감 조례’)를 이달 중으로 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례에는 사전 미세먼지 발생원을 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장과 사업자, 시민의 책무 명시와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을 줄이고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미세먼지 저감대책 수립, 대기측정망 설치·운영 사항 등이 담길 전망이다.
이를 위한 민관협의체인 다울마당 운영과 기존 미세먼지 저감 정책 등도 추진된다.
미세먼지 저감효과와 함께 도심 열섬 현상을 해소하는데 탁월한 도시숲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전주시 곳곳에 1000만 그루 나무심기 사업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