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목천 정병렬 시인, 마음 풍경 담아

다섯 번째 시집 ‘울 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 출간

“제 아무리 드론이 난다 해도 울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를 어찌 모른다 하시나이까.”

58년전, 1961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시 ‘엄동의 계절’로 등단한 목천 정병렬 시인이 다섯 번째 시집 <울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 (한국문인협회 전북지회 출판사)를 펴냈다.

팔순 노년에도 그는 나이를 모르고 젊으며, 지역문인들로부터 신사의 품위와 활발한 문단활동을 인정받고 있다는 시인.

“못에게는 / 망치가 구원의 신이다 / 못된 것 망치로 두들기면 / 한번 박은 못은 죽도록 꽃이다 / 몸을 태워 일생을 웃는다 / 저 널빤지 밤하늘 / 별 하나” - ‘저 별, 망치가 빛난다’ 전문.

이운룡 시인은 시평설 ‘정병렬의 개안 투시와 통찰의 심상’ 을 통해 “그는 언어의 엄격한 결백성을 시창작의 과업으로 믿고 이를 구현코자 노력한 시인이다”며 “이제 거목과 거목이 어깨를 짜고 숲이 되어 살아가는 식물적 생태와 같이 정병렬 시인을 ‘숲의 시인’이라 불러도 좋으리라”고 평했다. 그러면서 정 시인의 시는 함부로 넘겨볼 수 없는 중력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한 편 한 편을 꼼꼼하고 신중하게 숙고해야 그 깊이와 넓이를 알 수 있다고 귀띔한다.

시집은 서시 2편과 1부 ‘너를 만나는 눈길’, 2부 ‘울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 3부 ‘담쟁이 벽보’, 4부 ‘연날리기’에 걸쳐 79편의 시를 새겼다.

순창 동계 출생인 정 시인은 전북대 법학과를 졸업했고, 중등 영어 교사로 30여 년간 교편을 잡았다. 시집 <등불하나가 지나가네> , <물길어가는 새떼들> , <설원에 서다> , <외롭다는 것> , 산문집 <희망시인내동사랑가> 를 출간했다. 전북시인상·중산문학상을 받았고, 한국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용수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단체장 도전”…전북도청 간부공직자들도 ‘선거 러시’

자치·의회전용태 전북도의원, 공공의료 안정운영 위한 진안의료원 재정지원 법제화 촉구

사건·사고금은방서 금팔찌 훔쳐 달아난 20대 2명 검거

정치일반플랜B도 멈춘 450억 '새만금 청소년센터'...‘치유·힐링캠프’로 활용 필요

정치일반“결혼, 자연 속에서 공공과 함께”…전북도, 새로운 결혼문화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