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번째 시집 ‘울 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 출간
“제 아무리 드론이 난다 해도 울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를 어찌 모른다 하시나이까.”
58년전, 1961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시 ‘엄동의 계절’로 등단한 목천 정병렬 시인이 다섯 번째 시집 <울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 (한국문인협회 전북지회 출판사)를 펴냈다. 울어머이>
팔순 노년에도 그는 나이를 모르고 젊으며, 지역문인들로부터 신사의 품위와 활발한 문단활동을 인정받고 있다는 시인.
“못에게는 / 망치가 구원의 신이다 / 못된 것 망치로 두들기면 / 한번 박은 못은 죽도록 꽃이다 / 몸을 태워 일생을 웃는다 / 저 널빤지 밤하늘 / 별 하나” - ‘저 별, 망치가 빛난다’ 전문.
이운룡 시인은 시평설 ‘정병렬의 개안 투시와 통찰의 심상’ 을 통해 “그는 언어의 엄격한 결백성을 시창작의 과업으로 믿고 이를 구현코자 노력한 시인이다”며 “이제 거목과 거목이 어깨를 짜고 숲이 되어 살아가는 식물적 생태와 같이 정병렬 시인을 ‘숲의 시인’이라 불러도 좋으리라”고 평했다. 그러면서 정 시인의 시는 함부로 넘겨볼 수 없는 중력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한 편 한 편을 꼼꼼하고 신중하게 숙고해야 그 깊이와 넓이를 알 수 있다고 귀띔한다.
시집은 서시 2편과 1부 ‘너를 만나는 눈길’, 2부 ‘울어머이 그 포근한 나라’, 3부 ‘담쟁이 벽보’, 4부 ‘연날리기’에 걸쳐 79편의 시를 새겼다.
순창 동계 출생인 정 시인은 전북대 법학과를 졸업했고, 중등 영어 교사로 30여 년간 교편을 잡았다. 시집 <등불하나가 지나가네> , <물길어가는 새떼들> , <설원에 서다> , <외롭다는 것> , 산문집 <희망시인내동사랑가> 를 출간했다. 전북시인상·중산문학상을 받았고, 한국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희망시인내동사랑가> 외롭다는> 설원에> 물길어가는> 등불하나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