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의 아침저녁으로 잔잔하게 울리는 종소리를 들으면 마음의 안정을 찾게 된다. 국립전주박물관 상설전시실 2층 미술실에 들어서면 이와 비슷하게 은은한 종소리가 들려 왠지 경건한 자세로 관람해야겠다는 마음을 갖게 된다. 이렇듯 길게 울려 퍼지는 범종의 장엄하고도 청명한 소리는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세상에 찌든 몸과 마음을 잠시나마 편안하게 해주며 그들의 마음을 깨끗이 참회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범(梵)은 신성(神聖), 청정(淸淨)을 의미하기 때문에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종을 범종이라고 부른다. 이것을 치는 가장 중요한 의미는 지옥에 있는 사람을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고 아무런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에 가서 다시 태어날 수 있게 한다(극락정토, 極樂往生)는 것이다. 또한 불법의 진리를 깨우치게 하는 의미도 있다.
보물 제 1325호인 이 범종은 일제 강점기인 1926년에 전라북도 부호 박영근이 낙수정(樂壽亭, 현재 전주시 완산구 교동)을 수리하다가 발견된 것이다. 당시 일본 총독 사이토오 마코도(齊藤實)에게 기증하여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이 범종을 선대로부터 물려받아 소장해오던 다카하라 히미코(高原日美子)씨가 1999년 기증하면서 70여 년 만에 고향 땅으로 돌아왔다는데 의미가 있다.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撞座)를 중심으로 4명의 비천상이 구름 위에 꿇어 앉아 두 손을 모으고 합장을 하고 있다. 이 범종은 문양 및 배치가 고려 범종의 요소인데 비해, 형태는 통일신라 범종과 비슷하다. 또한 범종의 시료분석 결과,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에 있는 상원사(上院寺) 동종(銅鐘, 725년)의 성분비와 같음이 밝혀져, 맑고 장엄한 소리를 내기 위한 전대(前代)의 전통 제작방법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아 이 범종은 신라 말~고려 초 범종의 양식변천과 제작방법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님과 동시에,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김혜영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