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인천 송도서 열린 ’확대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관광벤처, 관광두레, 청년창업 통해 지역의 관광 역량을 높이겠다”
기반시설과 관광 매력 갖춘 기초지자체 선정....전주시, 타도시에 비해 비교우위 분석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정부는 광역지자체 한 곳을 서울과 제주에 이은 세계 관광도시로 키우고, 기초지자체 4곳을 지역 관광 허브로 육성하겠다”며 관광도시 육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인천 송도에서 열린 ‘확대 국가관광전략회의’에 참석해 “이제 관광도 교역이나 해외수주처럼 국제적인 총력 경쟁의 시대에 돌입했고, 그 경쟁을 이겨내야 관광수지 흑자 국가로 발전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관광벤처, 관광두레, 또 청년창업을 지원해 지역의 관광 역량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국가관광전략회의’는 융복합 관광정책의 협업 강화를 위해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로 설치된 범정부 회의체로, 2017년 이래 매년 1회 국무총리 주재로 열렸으며 올해는 문 대통령이 처음 참석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외국 관광객들이 찾는 지역이 주로 서울과 수도권, 제주와 부산 정도로 한정돼 있다”며 “의료·해양·체험·크루즈·음악관광 등 지역에 특화된 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자체가 관광산업의 주체가 돼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2022년까지 외래관광객 2300만 명을 목표로 한 ‘대한민국 관광 혁신 전략’을 통해 국제관광·지역관광거점도시 육성 및 방한외래객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먼저 서울·제주에 이어 세계적 관광도시로의 잠재력을 보유한 광역시를 ‘국제관광도시(1곳)’로 선정, 해당 지역이 세계인이 찾는 국제 관광지로 부상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또 일정 수준의 기반시설과 관광 매력을 갖춘 기초지자체를 ‘관광거점도시(4곳)’로 선정, 관광기반시설·콘텐츠 발굴·마케팅 등을 집중 지원해 국내 지역관광의 중심지(허브)로 육성하기로 했다.
나눠주기식 정책을 지양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지역관광 성공 모델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관광객 분산 효과를 거두겠다는 게 문체부의 구상이다.
국제관광도시는 부산과 인천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지역 관광거점도시는 전주시가 여타 도시에 비해 높은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돼 지역내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 외국인 대표로 사례를 발표한 미국출신 마크테토씨(jtbc의 ‘비정상 회담’ 출연)는 “한국은 새로운 관광콘텐츠를 만들어야 된다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데, 외국인의 시선으로 봤을 때 오히려 한옥 등 기존의 전통문화가 충분히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인들이 그 가치를 알면 좋겠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문 대통령의 관광현장 행보를 통해 정부의 강한 의지가 일선 현장까지 전달될 것”이라며 “중앙·지방·업계의 적극적 협력을 이끌어내 대한민국 관광이 새롭게 도약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