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및 스마트팜 등 전북 주력산업과 밀접
통신 기술 고도화 없이는 경쟁력 찾기 어려워
5G융합기술에 대한 전북도의 선제적인 대응과 구체적인 전략 마련이 지역주력산업 성장의 희비를 가를 전망이다. 정부 또한 5G기술이 융합혁신산업을 견인할 것이라 보고, 국가 차원의 집중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5G관련기술에 대한 선점이 늦어질수록 도내 지자체들이 계획하고 있는 미래신성장생태계 구축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그러나 전북은 기지국 설치는 물론 5G융합산업에 대한 인식도 뒤쳐져 있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의원(충북 청주시청원구)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5G 기지국 신고 장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전북에는 551개의 기지국이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대비 3%수준에 불과하다.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뜻하는 5G는 기가비트급 속도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자동차와 사물인터넷, 스마트 농업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과 스마트 농업은 전북의 전략산업이기도 하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일 “5G에 기반 한 신산업 생태계가 대한민국의 대전환의 시작”이라고 선포하면서 각 자치단체의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다. 경북도는 선제적으로 5G산업 육성방안을 밝혔고, 다른 자치단체를 또한 5G플러스 전략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5G기반의 새로운 산업과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5G플러스전략’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5G가 다양한 산업분야에 융합하며 5G 전·후방 산업에서 2026년까지 1161조원 규모의 신 시장을 창출할 것이라 추산했다.
이날 문 대통령과 정부는 5G플러스 전략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 약속하기도 했다. 전북의 경우 기존의 강점을 바탕으로 민·관 협력체계를 구성하고, 지역을 넘어선 국가전략 융합산업을 발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집중육성을 위한 실행력 담보와 과감한 규제 혁신으로 인프라를 뒷받침하는 일도 과제로 꼽히고 있다.
송하진 전북도지사 역시 5G융합기술이 전북 미래 전략산업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 전망하고, 각 실국 별 대응체계 마련을 주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