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통계청 발표 결과 저출산·탈전북 현상 가속화 뚜렷
출생률, 올 5월 누계기준으로 지난해보다 11.1% 감소
올 상반기에만 도민 7800명 순유출
통계청 조사결과 전북인구 감소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인구 늘리기를 위한 여러 대안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탈전북·저출산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6월 국내인구이동’과‘2019년 5월 인구현황’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1월~6월)에만 7800여 명의 전북도민이 순유출 됐다.
출생아 수도 줄었다. 인구 1000천명당 연간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5.1명으로 부산과 함께 전국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1%나 감소한 수치다.
지난 6월 기준 전북지역 주민등록 인구는 182만 6717명이다. 전북은 현 추세라면 통계상 최저치인 180만 명 선도 내년 안에 무너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북인구는 지난 1999년 199만9255명으로 200만 명 선이 처음으로 붕괴됐다. 이후 2005년에는 190만 명 선도 깨졌다. 전북인구가 185만 명 선 밑으로 내려간 것은 지난해부터다.
올해 2/4분기 국내인구이동에서도 전북의 인구유출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도내 전입자는 5만 906명 전출자는 5만 3361명으로 전출인구가 2755명이 더 많았다. 전년 동기대비 130명이 증가한 수치다. 이번 통계에서 전북은 전국 도 단위 지자체 중에서 전입인구보다 전출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드러났다.
전북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는 0.8명으로 나타났다.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 가정이 대폭 늘어난 셈이다. 출생아 수는 전국 도 단위 지자체 중 제주, 강원에 이어 하위권에 머물렀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도 0.7건에 그쳤다.
인구감소 문제는 세계적, 국가적 현상이지만, 전북은 그 정도가 더 심각해 근본적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처방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북인구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일자리와 기반시설 부족으로 꼽히는데 이 때문에 ‘반 기업 정서’와 일부 단체들의 ‘반대를 위한 반대’ 분위기를 완화시켜 유연하고 세련된 도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