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2021년까지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실증에 450억 투입

과기정통부, 올해에는 추경예산 90억원 투자

2021년까지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실증에 450억원이 투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해 현장 맞춤형 미세먼지 영향 규명·실증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연도별 사업비는 올해 추가경정예산 90억원, 2020년 180억원, 2021년 180억원이다.

과기정통부는 △특수 장비·소각장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실증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별 원인분석·영향 분석 고도화 신규과제를 오는 28일까지 공고하고 9월중 과제를 접수해 평가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함에도 실효성 있는 저감 조치가 부족했던 특수 장비와 노후 소각장 등 배출원의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에 3년간 총 250억원을 투자한다.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실증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사용자 등이 참여하는 리빙랩 방식의 실증도 추진할 예정이다. 리빙랩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T(정보기술)를 도입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과제가 그 동안 저감조치를 하기 어려웠던 배출원에 적용할 차세대 신기술을 개발·실증을 통해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기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또 미세먼지 발생 원인이 다양한 데다,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 현장 맞춤형 미세먼지 원인 규명과 영향도 분석 고도화에 3년간 총 200억원을 투입한다.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을 사업장·자동차·항만·농촌을 대상으로 하고, 미세먼지 생성·이동·확산과 주변 대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 다양한 발생원별 미세먼지 원인을 심층·종합적으로 규명한다.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별 배출량과 영향도 등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 등을 제시하고 권역별 미세먼지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기대했다.

올해에는 주요 발생원별 원인규명 고도화(8월 9일부터 28일까지), 배출원별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실증(8월 16일부터 30일까지)으로 나눠 각각 공고할 계획이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감실증부터 원인규명까지 과학기술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전북도, AI·바이오 융합 신성장 생태계 구축 시동

전주전북 시민단체, 대한방직 부지 개발 문제 제기

사회일반[제63주년 소방의 날] ‘3년 연속 도내 화재조사실적 1위’⋯남영일 익산소방서 화재 조사관

진안해발 650m 백운동계곡 숲, 이젠 병원이 됐다

산업·기업전북기업 일냈다···(주)크로스허브 CES2026 ‘최고혁신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