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대표 간식이였던 군밤, 군고구마를 팔던 풍경이 사라지면서 농가들의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1인가구가 늘고 제사가 일원화되거나 지내지 않는 시대적인 변화 또한 밤, 고구마 농민들의 생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전북도 등에 따르면 도내 밤 생산량은 지난 2013년 3781t 이후 2014년에는 1850t으로 줄었으며 2018년에는 반절 이하로 급감한 1677t으로 나타났다.
고구마 생산량 역시 지난 2012년에는 6만7601t, 2013년 5만2051t에 이어 매년 증감하면서 지난해에는 6만1367t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밤, 고구마를 찾는 소비자들이 줄어들면서 농가들은 생산과 판매 등에 고충을 토로했다.
순창에 A 밤 농가 관계자는 10여년 전 연간 2t 가량 생산되던 밤이 현재는 1.5t으로 감소했으며 B 농가 또한 1.8t에서 1t 내외로 줄었다는 입장을 보였다.
제수용품으로 사용되던 밤이 계속 생산되고 있는 반면 판매가 원활하지 않아 떨어진 밤만 줍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특히 밤 같은 경우 사람이 직접 주워야하기 때문에 수작업이 요구되지만 나무와 농민들의 노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수확과 관리에도 애로사항을 겪었다.
또한 10년 전과 밤 가격은 변동 없지만 인건비와 자재비는 늘고 있어 시간이 흐를수록 생산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고창에 한 고구마 농가 또한 기술이 발달하면서 생산량은 큰 변화가 없지만 사회가 변천하면서 비교적 가격이 높은 고중량 고구마나 다량으로 구매하는 모습이 줄었다고 말했다.
20kg 고구마 보다 3kg, 5kg 같이 알맹이가 작은 고구마를 선호하고 20년 전 평당 10kg 나오던 것이 현재는 7~8kg씩 나오고 있어 출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수급불균형이 이뤄지자 재고로 쌓아두게 되고 고구마 특성상 8개월 가량 밖에 유지하지 못해 싼 값에 판매하거나 나머지는 버릴 수 밖에 실정이다.
한 고구마 영농조합법인 대표는 “개인적으로 가치가 떨어진 고구마를 대량으로 매입하는 큰 공장이 들어섰으면 좋겠다”며 “이로 인해 특산품화 시키는 것도 농민들을 도와주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