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언젠간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걱정에 항상 불안하죠”
코로나19 영향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들이 일자리를 잃어가면서 생계에 위협을 받고 있다.
정부는 당초 노인일자리 사업 중단을 이달 8일에 이어 22일까지 연장에 나섰지만 전북도는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다음달 5일까지 중단 권고에 나섰다.
이 때문에 올해 14개 시군에서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총 5만 4108명 중 4만 8750명이 한순간에 일자리를 잃어버린 상황에 직면했다.
도내에 위치한 노인일자리 사업장(공공형·시장형) 108곳 중 70% 가까이 중단되면서 고령자 10명 중 9명은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게 된 셈이다.
덧신 만들기, 누룽지 만들기 등과 같은 719곳의 사업단들도 현재 534곳이 올 스톱 됐으며 일부 사업을 진행하는 사업단 경우 비대면으로 진행하거나 소수 인원으로 실시하고 있다.
전주지역에서 12명의 고령자들이 근무하는 한 노인일자리 사업장에서는 매출 감소로 지난달부터 주당 근무 일수를 이틀씩 감축했으며 이로 인해 급여도 50% 가까이 줄었다.
또한 노인들의 일자리 해결에 발돋움한 실버택배 기사들의 수도 줄어들면서 일자리를 잃을 우려와 걱정을 토로했다.
실버택배 기사 김모(73)씨는 “100만원도 안되는 월급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마저도 잃으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냐”면서 한숨을 내쉬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장애인일자리 사업에도 차질이 생기면서 장애인들의 일거리가 사라지면서 속앓이를 하고 있다.
전북지역 장애인일자리 사업에 총 1234명의 장애인들이 참여해 근무하고 있는 데 복지관 휴관 등으로 현재 근로자 120여 명만 돌봄, 생산 활동 등을 하고 있다.
장애인직업재활 시설 22개소 중 2개소만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7개소는 휴업 중이고 나머지 시설들은 부분 운영·휴관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아직 근로자가 직장을 강제적으로 잃은 경우는 없지만 대다수가 무급으로 근무하고 있는 상황이며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취업에도 위기 상황을 맞았다.
전주시장애인일자리지원센터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취업을 하고 싶다는 문의 전화가 평소 10건에서 3건으로 줄었으며 이마저도 실제 방문을 하는 경우는 전무에 가깝다.
또한 도움을 주고 싶어도 사업체와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워 실질적인 상담이 불가능하고 장애인일자리사업들도 밀린 상태다.
일각에서는 특수한 상황인 만큼 보상의 개념의 생계 유지비나 급여의 일정부분 지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지자체들은 형평성의 문제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북도청 관계자는 “현재 일자리에 참여하고 있는 분들과 차이가 있어 전체적으로 지원금을 주기 어렵다”면서 “100% 임금을 해주고 싶지만 현재로써는 휴업수당을 주는 것 밖에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