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실업과 여전한 탈전북에 희망동력 약화
지난달 인구 181만여명, 올 초보다 8820명 줄어
취업자 수 93만여명, 전년 같은기간보다 1만2000명 줄어
코로나19 사태가 속에서 전북경제가 늘어나는 실업과 멈추지 않는 탈(脫)전북 현상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경제 성장 동력확보는 특히 지난해에 이은 급속한 청년인구 유출로 더욱 어려워진 상황이다.
23일 통계청이 집계하고 공시한 전북고용동향과 월별 전북지역주민등록 인구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순유출 인구 1만2700여 명보다 탈 전북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지난달 말 기준 전북인구(주민등록기준)는 181만 여 명으로 올해 초보다 8820명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올해 전북인구는 1만5000여 명 이상의 감소할 전망이다. 전북의 인구감소 현상은 지난 5월 기준 전국 평균치보다 369명이 많다. 숫자로만 판단하면 경남과 경북 등 영남지역의 순유출 인구가 더 많지만 이들 지역 인구수는 각각 337만, 270만에 달한다는 점에서 본래 인구가 적은 전북지역의 사정이 더욱 심각하다는 분석이다.
유출인구 중 대부분은 15~29세 이하 청년층에서 발생했는데 지난 4월까지 타 지역으로 떠난 청년은 5000여 명에 달한다. 전북의 청년인구 비중은 17.0%로 세종(15.7%)과 강원(16.7%) 이어 세 번째로 낮은데 행정수도인 세종은 30~50대가 주력인구로서 노년층 비중도 9.5%전국에서 가장 낮다. 반면 전북은 노년층 비중이 20.9%로 전남(22.5%)다음으로 높았다. 전북의 고령화는 청년인구 유출현상과 맞물린 것이다.
코로나19이후 고용시장 대란도 심각하다.
지난달 말까지 전북의 취업자 수는 93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2000명이 줄었다. 반면 실업자는 대폭 늘었다. 지난달 기준 도내 실업자 수는 3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8000명이 증가했다.
경기가 침체되다보니 건설업에서 5월 기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9000명이나 줄었다. 자영업자들의 주력업종인 숙박음식점에서도 9000명이 감소했으며, 공공서비스업에서는 1만2000명이 줄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