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당국, 2명 채용했지만 타 업무 배치
전문가 “화학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 우려”
전북지역에서 해마다 화학사고가 발생하고 있지만, 대응책 마련에는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도에 등록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은 823곳에 달하지만 화학 분야 전문인력은 극소수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완주(민주당·충남 천안을) 의원이 받은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도내에서 44건의 화학 사고로 인해 소방이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5년 6건, 2016년 9건, 2017년 9건, 2018년 13건, 2019년 7건으로 경기(195건), 경북(72건), 울산(68건) 뒤를 이어 17개 시·도 중에서 4번째로 많았다.
더불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은 823곳으로 화학사고 현장에서의 전문적인 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러면서 소방당국은 화생방 테러나 각종 화학사고를 대응하기 위해 채용하고 있는 전국 화학 분야 특채자는 104명(중앙구조본부 19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지난 10년 화학 분야 전문인력 시도별 채용 및 배치현황(올해 제외)을 살펴보면 전북 관내에서 채용된 인원은 불과 2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 2012년, 2019년에 각각 1명씩 채용된 것으로 화학 특채자가 가장 많은 전남(19명)과 큰 대조를 이뤘다.
이마저도 해당 인원들은 현재 화학 관련이 아닌 타 업무를 보고 있으며 사실상 광주, 충남, 경남, 창원과 함께 화학 업무 담당 전문 소방관이 전무한 셈이다.
올해 말 제독화학차 도입 예정에 따라 인원을 늘릴 예정이지만 원활한 과정에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군산에 있는 A업체의 공장에서 연거푸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해 100여 명이 넘는 인원들이 병원에서 치료받은 사례가 있는 만큼 인력 강화는 물론 화학물질관리법 및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등에 철저한 관리 감독이 요구된다.
특히 화학사고는 충격, 기압, 온도 등 다양하고 사소한 이유로 더 큰 인명피해가 잠재된 만큼 지속적인 관심이 절실하다.
정기성 원광대 소방행정학과 교수는 “전문 인력이 자리를 떠나게 되면 다른 사람이 대체해야 하지만 최근 단속과 관리 강화는커녕 느슨해진 부분이 있다”며 “소방당국은 안전관리법에 따라 관리 자격증이 있는 인원이 근무하도록 하고, 위험 품목 관리와 위험물을 보관하는 시설이 제대로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