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설 운영방식·입지, 임시방편적 진행 비판
전주 대사습청, 장소 못 찾아 소리문화관에 조성
전주어진·역사박물관, 다시 임시 민간위탁 가닥
전주시 문화시설들의 조성·활용에 있어 중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대사습청, 전주역사·어진박물관 등 굵직한 문화거점들의 내년 입지, 운영방식을 놓고 임시방편적인 행정이라는 비판도 나와서다.
15일 시에 따르면 전주대사습청을 전주 한옥마을 내 소리문화관을 재단장해 조성키로 하고 16일부터 시작하는 전주시의회 제376회 제2차 정례회에 동의안을 상정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주대사습놀이에 대한 자료 수집·보존, 전시, 연구, 홍보 등을 하는 전주대사습청에 관한 필요성은 오랫동안 제기돼 왔지만, 시가 정한 조성 위치·규모에 대한 이견이 지역문화계에서 나오고 있다.
전주대사습놀이의 모태가 조선 후기 전라감영 통인청과 전주부성 통인청에서 펼쳐졌던 판소리 경연이기 때문이다. 전라감영 통인청이 오늘날 전주대사습놀이가 판소리 최고 등용문으로 발전하고 전주가 소리고장으로 자리매김하게 한 역사적인 뿌리이고, 최근 전라감영을 복원한 만큼 대사습청도 옛 통인청 역할을 하도록 그 일대에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역 문화계 인사는 “현재 전라감영이 복원 근처나 통인청이 있던 전라감영 서편부지 복원해 대사습청을 조성해야 의미를 살릴 수 있다. 또 건물만 자리한 전라감영을 채울 수 있는 콘텐츠이기도 하다”며, “46대에 이르는 명창, 역사만 소개하기에도 현 소리문화관 전시장 규모는 한참 못 미친다”고 했다.
역사성·시설 적합성 논란과 함께 대사습청을 별도로 짓는 게 아닌 지역예술인들이 수탁해 한옥마을 문화시설로 자리잡은 소리문화관을 대체한다는 점에서 전주 예술생태계가 위축된다는 우려도 나온다.
2005년·2011년부터 한 단체에 민간위탁 운영됐던 전주역사·어진박물관은 내년부터 시가 직영할 계획이었으나 임시 민간위탁으로 다시 변경됐다.
전주 역사와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전시·연구기관이기 때문에 직영을 통해 공공성·운영 안전성 등을 확보하고 전환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난해부터 용역·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제기됐다. 그러나 시는 예산·인력 등의 어려움으로 당분간 위탁을 연장하기로 했다. 이 역시 이번 시의회에 안건 상정됐다.
지역 예술인 지원·복지 등을 총괄하는 전주문화재단 역시 터전을 못 잡고 6년새 4차례 이전하는 실정이다. 재단은 올해 한벽문화관 교육실 등을 임시 사무실로 삼았지만, 한벽문화관 활성화·재단 사무처리 등에 어려움이 있어 올해말 팔복예술공장으로 이전·집약한다.
시 관계자는“대사습청의 경우 무형문화유산 등재 등을 위해 전승과 보존, 연구 등이 중요하기에 우선 첫 발을 떼고자 거점을 마련했고, 전라감영 서편부지 복원 등에 따른 이전 가능성은 열려있다”며, “문화시설은 전반적으로 예산과 인력 뒷받침이 가장 중요한데, 시유지나 예산 확보가 쉽지 않은 여건과 코로나19 사태에서도 지역 문화예술 진흥을 위해 다각적으로 힘쓴 방안”이라고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