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지원 사업에 전북지역 기업들이 몰려들고 있다.
스마트팩토리는 제품 생산 모든 과정을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자동으로 진행하는 공장이다.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생산성과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불량률은 줄이기 위해 도입됐다.
15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정부 차원으로 진행 중인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에 도내 기업들이 몰리며 올해 목표했던 지원 기업수가 조기 마감됐다.
정부와 전북도는 올해 도내 기업 122곳에 스마트공장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었다. 목표 기업수 92곳을 겨우 채웠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지난 9월 지원 기업 선정이 마무리 됐다.
전북도가 올해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은 크게 두 가지다. 스마트공장 보급과 확산,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이다.
스마트공장 보급과 확산에는 사업비 240억7000만 원이 투입된다. 국비 120억3500만 원, 전북도비 36억1100만 원, 기업 자부담 84억2400만 원이다.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은 사업비는 17억4600만 원이다. 국비 6억4000만 원, 전북도비 5800만 원, 대기업 6억4000만 원, 기업 자부담 4억800만 원이다.
두 사업 모두 기업 자부담 비율이 35% 수준이다.
전북테크노파크는 자치단체와 협력해 이미 지어진 스마트공장과 스마트공장 배움터를 활용해 기업에 해당 사업을 알리고 교육까지 진행하고 있다.
전북에는 시범 스마트공장이 3곳 있다. 정읍에 있는 대우전자부품, 익산 티엔지, 완주 대유에이피 등이다. 전주 팔복동에는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스마트공장 배움터가 있다.
전북 2호 시범 스마트공장인 티엔지는 로봇 자동화 라인, 품질관리(SPC), 재고관리(WMS) 등 레벨3 수준 시스템을 완비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 7% 증가, 불량률 35% 감소, 납기 50% 단축 등 경쟁력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전북도는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의 생산성이 30% 향상되는 것은 물론 불량률 43.5% 감소, 원가 15.9% 절감, 납기 준수율 15.5% 상승, 산업재해 22% 감소 등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생산성 향상이 매출 증대로 연결돼 고용도 1개 기업당 평균 2.2명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주 한 제조업 대표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지원한다는 말에 많은 기업인들이 달려갔다. 특히 변화에 빠른 젊은 기업인들이 많이 신청할 것 같다”면서 “정부와 자치단체에서 스마트팩토리 같은 지원 사업을 늘려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기업이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신속히 대처하고 저비용·고효율 경쟁력을 갖추려면 스마트공장은 이제 필수다”라며 “지난해는 대상 기업을 모집하는데 힘이 들었지만 올해는 입소문을 타고 많은 기업이 몰렸다”고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