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군이 태권브이 랜드 조성을 위한 로봇제작 설치를 공모하면서 과도한 입찰참가조건을 내걸어 관련업체들로부터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의도가 있는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조형물 설치공사가 아닌 실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기 위한 의도라고 하지만 조형물 업체가 완전히 배제되면서 기반시설을 제대로 갖출 수 있을지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무주군은 이달 초 설천면 지역(리조트 및 구천동, 태권도원, 반디랜드 등)에 방문하는 관광객이 무주읍지역으로도 방문할 수 있도록 태권시티 무주의 새로운 랜드마크 조성을 위해 무주읍 당산리 일대에 사업비 67억 원을 들여 태권브이 로봇 제작‧설치를 위한 제안공모를 냈다.
무주군은 이번 로봇제작이 단순 설치 조형물이 아닌 로봇공학을 접목해 움직이며 태권도 품새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어 기존 조형물과 차별성을 갖고 일본 요코하마에 제작 설치된 건담로봇과 경쟁한다는 야심찬 의도가 담겨있다.
하지만 입찰참가 자격을 나라장터(G2B)에 입찰서 제출마감일 전일까지 산업용 로봇(2315329801)을 제조물품으로 입찰참가 등록한 업체면서 엔지니어링사업자 신고증을 소지하고 최근 5년간 누계금액 30억 원 이상의 산업용 유압로봇 혹은 유압서보시스템 경력이 있는 업체 등을 요구하면서 전북지역 업체는 물론 전국에서 요건을 충족하는 업체가 3~4개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자인과 조형물 업체들은 배제된 채 로봇관련 업체만 2개사가 지난 13일 현장설명회에 참가해 이들 업체만이 입찰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됐다.
전북지역 조형물 관련업체들은 아무리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만든다고 하지만 거치대와 포토존 같은 기반시설도 설치해야 하는 상황에서 로봇전문업체만 참가해 제대로 된 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지에 회의적인 입장이다.
특히 우리나라보다 발달한 로봇기술과 수백 억 원이 들어간 일본에 비해 국내 로봇기술이 아직은 뒤처져 있는데다 예산도 67억 원에 불과해 일본에 비해 조잡하다는 평가가 나올 우려도 나온다.
국가대 국가 개념으로 로봇이 비교될 경우 자칫 국제적인 망신살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내 조형물 업체 관계자는 “자동차를 만들 때도 내부 엔진은 제조업체가 맡고 외형은 디자인 업체가 담당하는데 움직이는 로봇이라고 해서 날아다니는 것도 아니고 어차피 그 자리에서 구동만 할 것으로 보이는데 공동도급도 허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로봇전문업체가 제대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며 “특정업체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무주군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조형물 설치가 아니라 일본 건담로봇과 대응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산업용 유압로봇 혹은 유압서보시스템 경력이 있는 업체 등을 요구했을 뿐 일부업체들의 특혜의혹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