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역 상점들 스마트 기술 습득 및 활용도 낮아 사업 신청 관심 없어
코로나19 여파로 언택트 시대를 맞아 전북지역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면서 스마트상점의 보급 확대가 추진되고 있지만 속도가 더뎌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6일 전북지역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정부가 추진한 ‘스마트 상가 보급 시범사업’에서 전북대 대학로 상점가가 호남에서 유일하게 선정됐지만 1년이 지난 현재 스마트 상점 보급과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런데 올해 시범사업도 끝난 마당에 전북대 대학로 상점가 외에는 도내에서 스마트 상점 보급 대상이 확정되지 않아 지속적인 디지털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앞서 지난 2일에는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전북대 상점가 내 스마트상점을 방문하고 소상공인의 디지털화 현장을 점검하기도 했다.
중기부는 지난 2020년 스마트 상가 보급 시범사업을 추진한 결과 전북 등 전국 주요 상가·전통시장 55곳을 스마트 시범상가로 선정했으며 상가 내 소상공인 점포 4000여곳에 대해 스마트기술 도입을 지원하게 됐다.
도내의 경우 전북대 대학로 상점가 93곳에 총 2억 1500만원이 투입됐고 디지털 메뉴보드, 키오스크 등 스마트기술이 본격 도입됐다.
전북대 대학로 상점가 상인회에 따르면 키오스크, 홀로그램, 디지털 메뉴보드, 신분증 위·변조 판별기, 무인 판매대, 스마트 미러 등 6개 종류의 장비와 테이블오더 기술을 보급한 사례가 현재까지 1년 동안 상점 60여곳에 보급됐다.
중기부는 올해에도 소비·유통 환경의 디지털화 진행에 따라 소상공인 사업장에 스마트기술·오더 도입을 지원해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스마트상점 보급 사업내용은 스마트기술 70% 지원(455만원 한도), 스마트오더 전액 지원(100% 한도) 등을 담고 있다.
문제는 올해 도내 지역 상점들은 스마트 기술 습득 및 활용도에 대한 관심이 낮아 새로운 보급사업 신청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지난 시범사업 선정 과정에 전북대 대학로 상점가와 전주시가 스마트 상점 보급 확대를 위해 협업에 나서 가능했다는 설명을 내놨다.
최근 스마트 상점 보급 사업 신청을 받고자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 군산과 익산 등 도내 타 지자체를 순회하며 등록 상점가를 중심으로 홍보에도 나섰지만 호응은 적었다는 후문이다.
따라서 스마트 상점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소상공인들의 관심과 노력도 필요하지만 도내 지자체들 간 협업과 지원책 마련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국 전북대 대학로 상점가 상인회장은 “정부가 시범사업을 추진한 목적이 스마트상점 보급으로 디지털 기술을 상인들에게 전수해서 경쟁에서 밀리지 않고 자생력을 가지게 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안타깝게도 상인들은 스마트 기술과 관련해 기술 습득이나 활용도가 낮은 편이어서 부족한 부분을 정부가 꾸준히 보완하고 지원해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