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고속도로 교통사고 줄이기 연중캠페인] ⑨ 가장 간단하지만 가장 필수적인 안전장치, 좌석 안전띠

이희종 한국도로공사 전북본부 기술처장

이희종 한국도로공사 전북본부 기술처장
이희종 한국도로공사 전북본부 기술처장

건설현장의 13층 높이에서 안전장비 없이 맨몸으로 작업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무모함과 위험함에 보는 이들은 아연실색할 것이다.

시속 100km로 달리는 차량이 충돌 시 탑승자가 느끼는 충격은 13층 건물에서 추락하는 것과 같은 강도라고 한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운전자가 안전띠를 매지 않고 주행한다면 13층 높이에서 안전장비 없이 작업하는 것과 그 위험함이 다를 바 없다.

안전띠는 1910년대 비행기의 조종사가 회전 시 조종석에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음 도입되었다. 차량용 안전띠는 1930년대 자동차 경주에 참여하던 사람들이 자신들의 안전을 위해 스스로 만들어 달기 시작하다가 공식적으로 1936년 스웨덴의 볼보에서 2점식 안전띠를 장착한 것이 최초라고 한다. 그 후 안전성을 개선하여 현재의 3점식 안전띠가 개발되었다.

안전띠의 가장 큰 기능은 충돌이나 급정차 시 충격으로 쏠리게 되는 신체를 잡아주어 차량에서 튕겨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부상을 최소화해주는 것이다. 독자들은 매스컴을 통해 고속도로 교통사고 시 단순한 접촉사고인데도 치명적인 부상을 입거나, 차가 몇 바퀴를 구르는 대형 사고에서도 큰 부상 없이 걸어 나오는 운전자의 영상을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안전띠의 착용여부 차이다.

우리나라의 안전띠 착용률은 89%수준으로 99%에 이르는 독일 등 교통 선진국에 미치지 못한다. 2018년 9월부터는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 되었지만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50%를 넘지 못한다. 뒷좌석 탑승자가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탑승자간의 충돌로 본인보다 앞좌석 탑승자의 사망위험률이 훨씬 높아진다. 동승자를 위해서라도 안전띠는 모든 탑승자가 착용해야 한다.

안전띠는 에어백을 만나 더욱 효과를 발휘한다. 안전띠로 막지 못한 몸의 충격을 에어백이 흡수해 주는 방식인데,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수단으로 안전띠가 없다면 오히려 흉기가 될 수 있다. 에어백만 믿고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에어백의 충격을 그대로 받아 더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안전띠의 착용이 어떤 안전장비보다 우선하는 이유다.

안전띠는 제대로 착용해야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몸을 시트 깊숙이 밀착하고 골반띠는 허리 아래쪽으로 둘러 장기 손상의 위험을 피하고 어깨띠는 어깨 중앙부에 오게 착용하여 갈비뼈 등의 부상을 방지해야한다.

그에 더해 교통사고가 발생했다면 특별한 외상이 없더라도 적극적인 의료검사가 필요하다. 추돌사고가 발생했을 때 운전자가 큰 외상없이 병원에 후송되었으나 추후에 장파열 등으로 사망했다는 연락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현장에서 큰 부상이 없다고 무심코 넘어간다면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안전띠는 반영구적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데 추돌 사고를 입은 차는 충격을 안전띠에서 흡수해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에 바로 교체해 주어야 하고, 사고가 없었더라도 4~5년마다 점검하여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누구나 자신의 생명은 어떤 것도 감수하고 지키려한다. 반면 일상에서의 위험은 타성에 빠져 소홀히 하기 쉽다. 답답하고 불편하다는 이유로 안전띠 착용을 소홀히 한다면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소홀히 하는 것과 다름없다. 좌석에 앉자마자 안전띠부터 착용하는 습관이 꼭 필요하다. /한국도로공사 전북본부 이희종 기술처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전북현대 ‘우승의 나침반’ 거스 포옛과 박진섭이 말하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