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위기의 전북, 미래 비전은] (중)전북 농업의 지속 가능한 먹거리

전북은 천혜의 농업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비옥한 땅과 발달된 수로, 깨끗한 용수 등 농업을 위한 최적의 환경지로 꼽힌다. 지난해 전북의 쌀보리, 겉보리 생산량이 각각 전국의 39.1%, 51.0%를 차지했을 정도다.

이런 환경에도 전북에서 농업을 미래 먹거리라고 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지난해 도내 농업 경영주 중 40대 미만은 1.5%로 시간이 흐를수록 전북과 농업은 멀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농업은 전북이 놓쳐서는 안 될 매력적인 분야다. △유관기관 협업 △농업축제 확대 △기업 유치 등 이 세 가지를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지속 가능한 먹거리로 충분히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전북에는 농촌진흥청과 한국농수산대학,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등 농업 전문 기관이 들어서 있다. 이들 기관은 농업인 육성과 정착 지원 등 다양한 농업 정책을 펼치고 있어 농도(農道)인 전북과의 협업을 이끌어내야 한다.

▲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

우선 농진청은 농촌 소멸을 막고 미래 농업을 이끌기 위해 디지털 농업과 청년 농업인 육성에 방점을 찍었다. 농업 진입 장벽을 낮추고, 청년층 희소성이 큰 농업 분야를 블루오션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다.

농진청은 오는 2023년까지 정예 청년 농업인 1만 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창농 준비부터 정착, 기술창업까지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원스톱 종합정보지원 서비스’를 구축했다.

또 청년 농업인을 단계별로 분류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기술협업을 통해 기술창업 보육기반 확대와 생산제품 품질관리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 익산시 송학동으로 이전한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전경 사진.
▲ 익산시 송학동으로 이전한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전경 사진.

여기에 국립 전문대학인 한국농수산대학은 농업인 양성 최적 기관이라는 평가다. 농어업 분야별로 19개 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학과별 실습시설을 갖췄다. 특히 실습 중심 교육을 학생뿐만 아니라 귀농귀촌, 일반 농고·농대 졸업생 등을 대상으로 평생교육기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다만 이들 기관은 전국을 대상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따라서 전북도가 청년 농업인 유입과 농업 육성을 위해 기관 정책과 지원 선점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전북이 전국 최대 농업축제 개최지라는 점도 이점으로 꼽힌다. 그동안 쌓아온 농업 인지도를 바탕으로 특화산업으로 확대한다면 미래 먹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대표적인 농업축제로 김제 지평선축제와 고창 청보리밭축제가 있는데 코로나19 전만 하더라도 연간 방문객이 50만 명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김제 지평선축제는 1000억 원가량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거둔 바 있다. 이에 따라 단순 프로그램이 아닌 숙박 등 체류형 관광까지 더해진다면 그 이상의 경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전북 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농수산대학. 전북일보 자료사진
전북 혁신도시에 위치한 한국농수산대학. 전북일보 자료사진

마지막으로 식품기업 유치다.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올리는 건 식품분야로 세계 식품시장은 내년 7조 4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전북에는 익산에 동북아 최초의 식품전문 산업단지인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조성돼 시장을 선점할 기회가 얼마든지 있다. 물론 입주율이 67%에 그치고, 정주여건 개선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하지만 전북도와 익산시,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은 ‘국가식품클러스터 푸드파크’를 조성해 이를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단순 식품산업단지를 벗어나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할 수 있도록 제조·전시·체험·쇼핑·관광 등을 결합하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활성화하면 식품기업 유치와 청년 일자리 창출, 지역 농산물 사용 확대 등 선순환 구조가 형성돼 농업이 전북의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관련기사 [위기의 전북, 미래 비전은] (상)청년들 떠나는 낙후 전북의 오늘 [위기의 전북, 미래 비전은] (하)융합을 통한 전북 농업의 미래 비전
변한영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김근혜 아동문학가, 이경옥 ‘진짜 가족 맞아요’

오피니언[사설] 전북교육청 3년 연속 최우수, 성과 이어가야

오피니언[사설] 전북도, 고병원성 AI 방역 철저히 하길

오피니언[오목대] 학원안정법과 국정안정법

오피니언[의정단상] 새만금에 뜨는 두 번째 태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