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 확보에 난항을 겪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 전북연수원이 전주시 완산구 대성동에 건립이 추진된다.
22일 전주시와 중진공에 따르면 전북지역 중소기업의 인재 양성을 위한 중진공 전북연수원이 전주 대성동 대성정수장 인근 시유지에 들어설 계획이다.
전북연수원은 강의실과 강당, 사무실, 기숙사 등 연수공간을 포함해 컨벤션, 체육시설, 창업사관학교, 스마트 배움터 등 중소기업 지원 시설로 이뤄진다.
연수원은 중진공이 교육 인프라 확보가 어려운 중소벤처기업의 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권역별로 운영하는 시설이다.
그동안 전북은 연수원이 없어 도내 45만여명의 중소기업 재직자들이 광주광역시나 경기도 안산 등지에서 교육을 받아야 했다.
이와 같은 현실에 전주시에서는 지난 2019년말 부지매입(37억 5000만원), 설계비(7억 5000만원), 공사비(200억) 등 총사업비 245억원을 확보하고 지난 3월 중진공, 전주시의회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전북연수원 유치에 성공한 시는 당초 전주 상림동 영화촬영소 인근 천잠공원으로 건립 부지를 압축하기도 했다.
그러나 문제는 지난해 7월 발생했다.
중진공 부지선정심사위원회에서 상림동 천잠공원을 후보지로 선정했지만 부지가격 상승으로 예산 대비 연수원 건립에 필요한 면적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한 것.
시는 효자동 농소마을로 후보지를 물색했으나 이번엔 부지 면적이 협소하고 주민들이 반발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이렇게 부지 선정 과정에 1년이 넘는 시일이 걸리면서 절차 이행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지며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졌다.
시는 전북연수원 건립 부지와 관련해 전주 대성동, 송천동 에코시티 등 시유지와 공공용지를 두고 대안을 검토했다.
검토 끝에 부지선정심사위원회는 대성동 대성정수장 인근 시유지(3만 9669m²)로 연수원 부지를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선정된 대성동 부지 면적은 연수원에 필요한 최소 부지 면적인 3만 3000m² 이상이며 자연친화적인 환경이 이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결국 시에서 상림동과 효자동을 돌고 돌아 대성동에 전북연수원을 건립하기로 했지만 부지 선정 과정에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리고 주민 반발에 직면하는 등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해 졸속 행정이란 질타를 피할 수 없게 됐다.
중진공 관계자는 “전북의 미래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공장, 문화·콘텐츠 산업 등 정책산업 추진으로 산업 인력 수요 증가에 따른 교육 수요 대응이 필요하다”며 “고용 산업 위기지역의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연구시설로 연수원 건립의 원활한 추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