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수도권 벤처기업 대폭 증가, 전북 성적은 초라

2021년 수도권 벤처기업 2011년 대비 8415개 증가, 비수도권은 고작 3630개 늘어
전북 2011년 597개 · 올해 824개 전국 2.2% 불과, 창업지원기관 극히 적은게 원인

최근 10년간 수도권 소재 벤처 기업은 대폭 증가한 반면 전북 등 비수도권은 소폭에 그쳐 지역 간 벤처 격차가 더욱 심화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장섭 의원(청주 서원구)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받은 ‘전국 광역지자체별 벤처기업 확인 기업 수’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대비 올해 6월까지 수도권 벤처 기업은 56.7%(8415개)가 늘어나는 반면 비수도권은 32.1%(3630개) 정도만 증가했다.

수도권 벤처기업 비율은 2011년 56.7%(1만 4837개)에서 2021년 6월 60.8%(2만 3252개)까지 증가했다.

반면 비수도권의 비율은 2011년 43.3%(1만 1311개)에서 2021년 6월 39.2%(1만 4941개)로 오히려 감소했다.

전북의 경우 2011년 597개에 불과했던 벤처기업 수가 2021년 824개로 소폭 늘었다.

하지만 올해 기준 전국 벤처기업 수 3만 8193개 중 차지하는 비율로는 2.2%에 불과해 낮은 수치로 분석된다.

또한 이 같은 도내 벤처기업 현황은 전국적으로도 매우 낮은 벤처기업을 도내 보유한 것으로 조사되며 전북보다 낮은 벤처기업 수를 기록한 지역은 광주(788개)와 전남(818개), 강원(735개), 제주(236개) 뿐이다.

특히 이 같은 비수도권의 열악한 벤처 기업 현황은 제대로 된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벤처기업을 키워 낼 수 있는 창업투자회사가 전국에 182곳이 있지만 대부분 수도권(서울 153곳, 경기 13곳)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며 전북의 경우 한 곳의 창업투자회사도 없었다.

또한 창업을 지원해주는 엑셀러레이터 역시 전국 336개 중 수도권에만 223개(서울 174개, 경기 38개, 인천 11개)가 소재해 전국에서 엑셀러레이터 중 66.4%를 보유하고 있다.

전북은 엑셀러레이터가 8개가 소재, 전체의 2.4% 밖에 안됐다.

이장섭 의원은 “수도권과 지방의 벤처 격차는 지역경제와 일자리에도 격차를 유발할 것”이라며 “창업도 중요하지만 지역에서 지원을 받고 창업을 하고 나서도 후속 지원을 위해 수도권으로 이전하는 경우도 있어, 벤처기업이 지역에 머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소재 중소벤처기업의 절반 이상이 지방 이전을 검토했다는 중진공의 설문조사 결과도 있는 만큼,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이전 지원금이나 지방 소재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등 파격적인 지방 이전 유인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엄승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