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따른 대출금리 인상으로 가뜩이나 코로나19로 빚이 늘고 있는 서민과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시름이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3분기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9월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844조 9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가계신용은 117조원이 늘어나 증가폭은 최대치를 나타냈다.
2분기(6월말)와 비교하면 36조 7000억원(2.0%)이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 3분기 누적(81조 2000억원) 보다 36조원이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로 접어들면서 매출 타격으로 고통 받는 생계형 자금 수요와 빚으로 주택을 마련하는 담보대출 등이 크게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전북지역은 1·2금융권 통틀어 금융기관의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모두 증가해 지역 경제를 위협하는 뇌관이 되고 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내놓은 ‘9월중 전북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을 보더라도 여신은 지난 8월 2263억원이 증가했으나 9월 들어 7197억원이 늘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기관별로 예금은행의 여신은 8월 643억원이 감소했으나 9월 3062억원이 증가해 증가세로 돌아섰고 제2금융권인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여신은 8월 2906억원이 증가했으나 9월 4135억원이 늘어 증가폭이 확대됐다.
차입주체별로 기업대출은 8월 1019억원이 증가했으나 9월 운전자금 수요 확대 등으로 6220억원이 늘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가계대출은 8월 1321억원에서 9월 671억원으로 절반가량 축소됐지만 마찬가지로 증가세를 보였다.
문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현실화하고 있는 만큼 가계와 기업 등의 대출 이자 부담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그동안 11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온 것으로 알려져왔는데 금통위가 이번에 기준금리를 현재 연 0.75%에서 연 1%로 인상하게 되면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제로(0) 금리 시대가 1년 8개월만에 막을 내린다.
기준금리의 제로(0) 금리시대가 끝나고 내년에도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 전망마저 나오자 빚이 빛의 속도로 늘어날 판국이라는 말도 시중에 떠도는 형국이다.
서민은 물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은 기준금리 인상이 코앞으로 다가오자 금융비용의 추가 부담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특히 무작정 기준금리를 인상 하기에 앞서 물가 상승의 압력으로 경기 위축 국면에서 금융당국이 대출 만기 연장 등 유동성 대책 마련을 수립할 것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크다.
대출금리가 오를수록 금리 폭탄의 영향이 경제적 취약계층에 미치게 돼 코로나19 여파로 매출에 타격을 입은 영세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경제적 피해도 막대한 실정이다.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코로나 대유행으로 강화된 거리두기에 매출 감소 심화와 원자재값 상승 등 일선 현장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절박함을 호소했다.
도내 중소기업 관계자는 “아직 매출이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상은 금융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로 인해 유동성 위기로 쓰러지면 은행도 동반 부실화되는 악순환이 유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