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우연한 기회에 이색적인 시집을 읽게 되었다. 한국에서 일하는 네팔 이주 노동자 35명이 쓴 시집이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산을 바라보며 살아온 그들이 고층빌딩 숲이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낮은 노동자로 살아가면서 느낀 삶의 소회를 담은 내용이다.
현재 한국 사회 노동 현장에서는 이주 노동자들이 없으면 농수산업에서부터 건설 현장까지 유지할 수가 없을 정도다. 즉, 한국 경제는 이주 노동자들을 착취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수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이 쓴 시를 통해 이주 노동자의 노동 현실의 진상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그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것과 그들의 전통과 관습을 알리는 시도 있지만 35명이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정서는 한국 노동 현장의 일그러진 모습을 말하고 있다.
한국인들이 하기 싫어하는 일을 하며 ‘기계’가 된 그들의 시에서 ‘한국인들이 보고 싶어 하지 않는 한국’이 여실히 드러나 보였다.
사람이 만든 기계와 / 기계가 만든 사람들이 / 서로 부딪히다가 / 저녁에는 자신이 살아있는지조차 알 수가 없구나 / 친구야 여기는 기계의 도시란다 / 여기는 사람이 기계를 작동시키지 않고 / 기계가 사람을 작동시킨다
-<기계>(서로즈 서르버하라)부문
너무나 일상이 되어버린 노동 환경에 대한 것들을, 우리는 살아가면서 무심하게 느끼고 받아들이고 있는 ‘기계의 노예화’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기계의 도시에서 / 기계와 같이 놀다가 / 어느 사이 /나도 기계가 되어버렸구나
<기계>의 마지막 부분은 이렇게 끝을 맺는다. ‘기계가 사람을 작동’시킨다는 비판을 넘어 우리가 점점 기계화되어가는 잊었던 현실을 바라보게 한다. 그런데 이 작품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작품 속에서 노동 현장에서 인간적인 존엄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로봇 같다고 토로하기도 한다.
나는 이 로봇의 나라에서 밤마다 / 이런 생각을 하다 눈을 감고 / 다음 날 아침이면 어김없이 일어난다
-<어머니의 알람>(덤벌 숩바)부분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문맹처럼 /로봇을 만드는 나라에서 로봇이 되어 /자신의 성실한 노동의 시간을 보낼 때 /가끔은 휴대폰의 사진첩을 본다.
-<나>(딜립 반떠와)부분
삶이 이토록 어려운 시기가 도래해서 /이제는 당신 기계의 족쇄를 차고 /슈퍼 기계가 되어서 움직이고 있어요
-<슈퍼 기계의 한탄>(니르거라즈 라이)부분
이들의 눈에 비친 한국은 노동자들을 로봇으로 만들어 거대한 기계에 속한 부품으로 종속되어간다는 걸 말하고 있다. 한국을 기회의 땅으로 생각하며 들어왔지만, 오히려 마음의 상처와 영혼을 찢기는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산업현장에서 인간의 부품화 현상이 한국만 그런 건 아니리라 여긴다. 하지만 이들의 눈에 비친 한국 노동의 현실은 암담함 그 자체다.
우리가 간과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네팔 노동자들이 시를 통해 한국의 노동 현장이 여전히 변화되지 않고 있음을 인식하게 하는 부분이다. 단순히 외국인 이주 노동자만 해당하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해마다 노동 현장에서 우리 청년들의 사고사를 접하는 것은 이제 흔한 일이 되어버렸다. 아직도 열악하기만 한 노동 현장은 이주 노동자와 더불어 비정규직으로 방치된 우리 청년들과 아버지들의 하루하루가 위험의 도가니 속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떠올리게 했다.
시를 통해 영혼과 생각을 표현했다는 데 큰 의미를 갖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노동 현장을 확인하는 순간이기도 했다. 이 사회에서 가장 낮은 곳에서 일하면서도 목숨을 담보로 할 수밖에 없는 노동 현실을 보는 거 같아 마음이 착잡했다. 힘겹게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사회 구조적 상황이 언제쯤 달라질지 요연하지만, 다시 한번 우리 노동 현실을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될 일이다.
■ 필자 이경옥 동화작가
- 프로필 2018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동화 <두 번째 짝>으로 등단
- 2019년 우수출판콘텐츠제작지원사업에 선정됨
- 2019년 장편동화 <달려라, 달구!> 출간
- 전북작가회의, 전북아동문학회, 한국아동문인협회회원으로 활동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