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지방선거 후보자 통장 유치 전북은행만 ‘무관심’

지방선거 후보자 선거 자금 통장 은행권 유치 경쟁 치열

image
전북은행 로고

향토은행인 전북은행이 지방선거 과정에 후보자들의 선거 자금 관리용 통장 유치에 다른 은행에 비해 소극적으로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5일 전북지역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6월 1일 실시되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금융고객 이탈을 막고자 은행들마다 선거비용 관리통장 유치 경쟁이 뜨거운 양상이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사무장, 선거연락소장, 선거사무원의 수당이 인상되면서 이에 연동해 선거비용제한액도 함께 늘어 예금 규모가 커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고한 시·도지사의 선거비용제한액 평균은 15억 5300만 원으로 종전보다 1억 2000만 원이 증가했다. 

제7회 지방선거의 14억 1800만 원과 비교하면 1억 3500만 원 증가해 약 9.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전북지역 내 출마 후보자들은 전북도지사, 도교육감 등 5명을 포함해 455명에 달한다.

따라서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등 4대 시중은행들은 이른바 선거비용 관리명목으로 ‘당선기원통장’ 상품을 일제히 내놓고 활발한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광주은행이나 경남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제주은행 등 다른 5개 지방은행들도 선거비용 관리통장을 통한 선거 자금 예금 유치 경쟁에 나섰다.

선거비용 관리통장의 가입대상은 선거 입후보자 또는 입후보자가 지정한 회계책임자로 영업점에서 대면 가입만 가능하다.

지역에서도 각 은행들마다 선거관리위원회 제출용 각종 증명서 발급, 전자금융 이체 등에 소요되는 각종 수수료 면제 혜택을 통해 금고를 늘리고자 선거 자금 유치에 나서면서 수백억 원의 자금 유치와 더불어 선거 기간 중 홍보 효과 등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몰두하고 있다.

하지만 향토은행을 자처하는 전북은행은 다른 은행들과 달리 선거 자금 유치에는 유달리 무관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현재 선거 관리 자금과 관련된 예금 상품은 없다”면서 “이전에도 따로 출시된 적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다 보니 전북지역 내 출마 후보자들 가운데 상당수는 대부분 농협을 이용하거나 전북은행에 분산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관영 더불어민주당 전북도지사 후보의 경우 농협과 전북은행에 선거 자금을 분산해 관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은행과 같은 JB금융지주 계열의 광주은행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후보자들의 선거 자금을 유치하기 위한 ‘당선기원 통장’을 출시해 눈길을 끌었다.

광주은행은 지난 2018년 지방선거와 21대 총선에서 110여 개의 계좌를 판매했으며 이번에도 신규 가입일로부터 투표 후 1개월까지 각종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하며 선거 자금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전북지역의 한 선거캠프 관계자는 “시중은행을 비롯해 인터넷은행, 저축은행 등은 고객 유치에 혈안이 돼 지방은행의 입지가 위태로운 것을 안다”며 “향토은행인 전북은행이 직접 관심을 갖고 다른 은행들과 달리 선거 자금을 유치하는데 관심이 적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영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남원 교차로서 사륜 오토바이와 SUV 충돌⋯90대 노인 숨져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