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평균 수급액 50만원으로 울산보다 25만원 적어
노후대비를 위한 1차 사회안전망에서도 전북은 소외
전북지역의 국민연금(노령연금) 월평균 수급액이 전국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뜩이나 지역발전 불균형으로 전북이 가장 낙후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노후대비를 위한 1차 사회안전망인 국민연금에서조차 가장 소외를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더불어 민주당 김회재 의원(전남 여수시을)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의 2022년 2월 기준 국민연금(노령연금) 월평균 수급액은 50만 3200원으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적은 액수이며 가장 많이 받는 울산 75만 7200원보다 25만 40000원이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수급액 상위 5개 광역자치단체는 울산을 필두로 △세종 61만 800원 △서울 60만 4700원 △경기 59만 2100원 △경남 58만 3700원이었다.
하위 5개 광역자치단체는 △전북 50만 3200원 △전남 51만 9400원 △충남 52만 5700원 △대구 52만 9700원 △제주 53만 5500원이다.
이 외 광역자치단체의 월평균 수급액은 △인천 57만 2700원 △대전 56만 2800원 △부산 55만 9300원 △경북 55만 6700원 △광주 54만 3800원 △강원 54만 1300원 △충북 53만 7900원 등으로 나타났다.
김회재 의원은 “국토 불균형,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인해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된 가운데, 노후대비를 위한 1차 사회안전망인 국민연금에서조차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며 “지역에 질 좋은 일자리와 고부가가치산업이 부족해 발생하는 소득 격차가 노후보장 수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