엥겔지수 상승 폭 1.4%p...G5 평균은 0.9%p
주요 요인은 국내 식품물가 급등, 식량안보 등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엥겔지수가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G5)에 비해 크게 올라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엥겔지수는 일정 기간 가계 소비지출 총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가계의 생활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를 의미한다.
1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발표한 '엥겔지수 국제 비교 및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의 엥겔지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p 올랐다. 같은 기간 G5 평균(0.9%p)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2019년 대비 2021년 주요국별 엥겔지수 상승 폭은 한국이 1.4%p로 가장 크고 영국(1.2%p), 독일(1.0%p), 일본(0.9%p), 프랑스(0.8%p), 미국(0.4%p)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엥겔지수가 크게 상승한 주요 요인으로는 국내 식품물가 급등, 식량안보, 소비성향 약화 등이 꼽혔다.
UN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식품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5.2%로 G5 평균인 1.7%보다 3배 이상 높았다. OECD 국가 전체와 비교해도 한국은 33개국 중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또 한국의 곡물 지급률은 19.4%로 G5 중 가장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그룹에서 발표한 식량안보지수도 세계 113개국 중 39위에 불과해 G5에 비해 식량안보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한국 가계소비가 둔화한 것도 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했다고 분석했다. 가계는 소비성향이 약화할수록 내구재 등 비필수적 소비를 줄여나가는 특징이 있어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오를 수밖에 없다는 게 한경연의 설명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 유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식품 가격이 오를 경우 저소득층의 피해가 커진다. 농산물 자급능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한 식품물가 상승 폭을 최소화해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