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식량원, 콩품종 ‘선유2호’, 밀 ‘황금알’ 개발해 7일 시연
시범도입 농가 “지난여름 침수피해·노동력 감소”
논 이모작에 적합한 논콩·밀 신품종과 폭우 등 이상기후 대비에 적합한 재배기술이 개발·시범 도입됐다. 이모작 안정화를 가져와 정부 전략작물 직불금 제도에 탄력을 줄 지 관심이 쏠린다.
7일 농촌진흥청과 장성군농업기술센터가 현장 시연회를 열고 기계화 생산이 가능한 국산 밀·논콩 신품종과 핵심기술을 소개했다.
밀·콩 이모작은 6월 20일 이전까지 밀 수확을 마치고, 6월 하순~7월 상순에 콩을 파종하는 재배법이다. 10월 중순 무렵 콩 수확 후 곧바로 밀을 파종하면 두 작물 모두 안정적인 수확량을 얻을 수 있다.
국립식량과학원은 논 이모작 재배에 적합하고 수량성이 우수한 콩 품종 ‘선유2호’와 밀 품종 ‘황금알’을 개발했다.
‘선유2호’는 기존 ‘선풍’ 품종보다 10~14일 정도 빨리 수확할 수 있다. 단위 면적당 1.2배 정도 촘촘하게 심으면 꼬투리가 달리는 위치(착협고)가 높아져 기계 수확이 쉽다. 밀 품종 ‘황금알’은 키가 크고 익는 시기(5월 31일 무렵)가 빨라 이모작 기계화에 유리하고, 단백질과 글루텐 함량이 높아 제빵용으로 우수하다.
또 △침수 피해와 습해 예방을 위한 겉도랑 및 땅속 배수 기술 △직진 자동 조향장치를 이용한 정밀파종 기술 △농약 흩날림(비산) 최소화한 무인기(드론) 방제 기술 △기계 이용 콩 수확 및 밀 파종 등 기술 시범이 이어졌다.
이날 선보인 ‘무굴착 땅속 배수 기술’은 밀·콩 이모작 재배지의 물 빠짐(배수) 관리에 유용하다. 논 가장자리에 손쉽게 배수로를 설치할 수 있는 ‘배수골 조성기’와 토양 경반층 파쇄와 동시에 보조 땅속 배수가 가능한 ‘왕겨 투입용 심토파쇄기’ 등도 호응을 얻었다.
이 기술을 적용해 시범 콩 수확과 밀 파종을 한 황룡위탁영농법인 이남현 대표는 “논에 배수시설을 설치한 후 물 빠짐이 원활해져 지난여름 집중호우 때 논콩 침수 피해를 줄일 수 있었고, 직진 자동 조향장치를 부착한 트랙터로 콩 수확에 드는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효원 국립식량과학원장은 “논에서 밀·콩 같은 식량작물과 밭작물이 안정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기계화 전용 품종 보급 확대, 노동력 절감과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밭농업 기계화 촉진, 집중호우 등 이상 기상에 대응한 배수 기술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